3.145.36.10
3.145.36.10
close menu
KCI 등재
중도, 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Die Einstellung von Sonderschullehrern uber die Implementation von`Basic Curriculum`fur Schuler mit schwerst-mehrfach Behinderung in Korea
이숙정 ( Suk Jeong Rhie )
UCI I410-ECN-0102-2015-300-00221921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특수학교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에 담당교사의 인식과 운영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준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주로 입급되어 있는 특수학교 2군데를 선정하고, 학교별로 교사 3명씩을 선정하여 학교별로 집단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목표 및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막연하나마 학생들이 기능향상을 통해 전인적 성장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며, 핵심역량으로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매우 기본적인(basal) 능력(최소 의사소통, 자기결정, 행위의지 및 동기, 사회적 관계 확대)을 꼽았다. 둘째,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각 학교급별 특성 및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학교수준 교육과정’정립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셋째, 교과교육 편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담당교사가 인식하는‘교과’의 의미와 그 범위가 상이하였으며, 교과는 교과(군)별 시수를 감축하여 다른 활동으로 운영하는 경우와 교과 시수 범위에서 학생에게 필요한 관련 생활기능 내용을 가르치는 경우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넷째, 교과 교수학습 형태와 관련하여 현장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간 통합과 더불어 이를 생활주제와 연결하는‘생활주제 중심 교과통합’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통합적 논제로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이 고취되어야 하고, 둘째, 해당 학생에게 적합한 교과별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요청되며, 마지막으로 추후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는 교과의 표준중심 교육과 기능적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교과별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In dieser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in erster Linie um die Einstellung vonLehrpersonalien von Schulerinnen mit schwerster Behinderung, und zwar vor allem uber dieErziehung und Erziehungmoglichkeiten von diesen Personengruppen. Obwohl dieseSchulergruppe bisher eher als erziehungunfahig bzw. lernunfahig galten fur die tradiertenFachunterrichten, haben diese Menschen jedoch in neuerster Zeit eine andere positiveErziehungsperspektive gewonnen in der sonderpadagogischen curricularen Entwicklung inKorea. Daher richtet sich diese Arbeit auf die Darstellung bzw. Erweiterung der Erziehungs- u. Unterrichtsverstandnissen von den Lehrpersonal fur diese Menschen und aufsSchlussfolgern fur die weitere Sonderschulpraxis. Fur diesen Zweck wurden 6 Klassenlehrernvon 2 Sonderschulen mit semi-structured interviewbogen nachgefragt und zwar in 3Bereichen: Erziehung allgemein, Implementation der schulischen Curricular undDidaktisch-Methodische Herangehensweisen in Fachunterrichten. Nach der Darstellung derErgebnissen von Inter iew wurden deren sonderpadagogischen Relevanzen in 3Themenbereich folgend diskutiert: Erstens, auf der Seite von Lehrern ist die fachdidaktischeKompetenz immer starker nachzufragen, auch fur individualisierte curriculare Implementation. Zweitens, fur individual adaquate Unterrichtspraxis fur diese Schuler ist eine fachlicheDiskussion bzw. Ubereinstimmung von Bildungsstandard fur Unterrichtsfach notig. Drittens,fur die curriculare Entwicklung in Zukunf fur diese Schuler ist eine integrativeHerangehensweise von (Kompetenz) Standardsorientierte- Curriculum undFunctional-Curriculim zu forschen.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