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90.167
18.216.190.167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o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김태희 ( Tae Hee Kim ) , 김갑숙 ( Gab Sook Kim )
상담학연구 15권 6호 2327-2343(1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2163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거주하는 대학생 221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정서표현신념 척도(BEE),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여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vestigation about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belief about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221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BEE), Korean vers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measurements from the BEE, AEQ-K, and PWBS were analyzed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