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169
3.145.191.169
close menu
KCI 등재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철학 -아도르노 철학의 현재성-
Philosophy as an ensemble of negation and contemplation -The actuality of Adorno`s Philosophy-
김기성 ( Ki Sung Kim )
시대와 철학 25권 4호 169-208(40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209134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철학이 사적인 삶의 경험을 개념의 “추상화라는 황량한 불모지를 통과시켜” 이론화하는 것, 즉 개념과 경험,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구체적인 철학행위를 보여준다는 것을 서술한다. 아도르노의 철학은 한편으로 부정적인 것을 부정하기 위해 독일 정신의 변증법의 원동력이자 방법론적 원리라고 간주될 수 있는 “규정적 부정”을 『부정변증법(Negative Dialektik)』의 심장으로 이식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주관적 사유체계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은 객체의 특수성으로서의 긍정적인 것을 경험하면서 그것의 고유한 내적 형식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이론적 활동으로서의 실천, 즉 관조가 무엇인가를 『심미적 이론(Asthetische Theorie)』에서 구체화한다. 달리 말해서 아도르노의 철학은 고통의 경험이라는 도화선에 불을 붙여 부정적인 것의 총체성이라는 “보편적 블록”을 폭파시킴으로써 그리고 전율로서의 심미적 경험에 의한 각성을 통해 현혹연관으로서의 사회라는 “베일”을 벗겨냄으로써 생명력 넘치는 현존재의 삶을 되찾으려고 시도한다. 이처럼 사회비판과 맞물려 있는 인식비판을 통해 “훼손된 삶의 한가운데에서 훼손되지 않은 삶”의 구제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아도르노의 철학은 비판적 생철학이라고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철학적 작품들은 구체적 철학행위를 배우고, 자신의 사적 삶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는 사회비판이론을 만들어 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교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Ardorno’s philosophy is to theorize experiences of private life “passing through a barren land of the abstraction” of concepts, namely, it shows the concrete philosophizing as an ensemble of negation and contemplation, concepts and experiences. On the one hand, Adorno’s philosophy transplants “determinate negation” which can be regarded as motive force and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e dialectics of German mind into the heart of Negative Dialectics in oder to negate the negatives. On the other hand, experiencing the positives as the uniqueness of an object which cannot be entirely reduced to its subjective speculation system, it embodies what is practice, contemplation as a theoretical works trying to interpret its unique inner form philosophically in Aesthetic Theory. In other words, Adorno’s philosophy tries to recover vitality manifested in human life as being-there(Dasein) by lighting a fuse as the experience of suffering and exploding “universal block” of negative totality, and lifting the “vail” of deceptive society getting awaken by means of aesthetical experience as a shudder. Adorno’s philosophy can be named critical philosophy of life in the sense that it aims to relieve “undamaged life in the mist of damaged life” through critique of knowledge connected with critique of society. In conclusion, Adorno’s philosophical works can be training materials for the people who want to learn concrete philosophizing and construct a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at begins with the unique and private experiences in their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