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65.246
18.221.165.246
close menu
KCI 등재
마을과 시민
Maeul and the Citizens
우기동 ( Ki Dong Woo )
시대와 철학 25권 4호 311-338(28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209174

최근 마을에 관한 이야기들이 많다. 농경사회에서 삶의 터전이면서 생활공간이었던 ‘마을’이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개조의 대상이었던 전근대적의미의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있다. 오늘날 마을은 일단 일정한 지역사회에 거주지를 두고 공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긴밀한 생활 관계망을 맺을 수 있는 ‘포괄적인 커뮤니티’라 할 수있다. 그런데 주거지(삶터)와 직장(일터)을 달리 두고 있는 도시 생활의 광범위성은 교육적 필요, 물질적 욕구, 문화적 요구 등 사람들의 다양한 욕망을 충족시켜 주기에는 커뮤니티로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마을은 커뮤니티의 경계를 넘어서는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공동체적 삶의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와 마을공동체 운동의 ‘마을’은 커뮤니티이면서 동시에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마을공동체는 주민들이 스스로 자기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과정을 통해 형성되어 간다는 점에서 주민자치가 실현되는 공간이다. 마을공동체는 분권화되고 다원화된 자치의 공간으로 민주주의에 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우리의 전반적인 사회적 삶의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국가)시스템의 작동 원리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시민은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시민적 덕목을 함양하고 주체적 시민의식을 갖춘 ‘마을의 시민’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lots of stories about ‘maeul’. ‘Maeul’ was a site of living and common living space in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ies. It has been considered as being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But it has been casting off its old-fashioned image today. ‘Maeul’ going together ‘maeul’ movement for the recovering of the communal life is a community and network at the same time. This ‘maeul’ community is also a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citizens’ autonomy, in which they solve the local problems by themselves and the public comes to the awakening citizen through this process. ‘Maeul’ community is both a decentralized and a diversified site and it vitalizes democracy. It can further have an influence on the way of solving general social problems and the operative principle of a state also.

1. 마을과 생활공간
2. 도시화ㆍ산업화와 사회생활의 변화과정
3. 도시화ㆍ산업화와 사회적 의식
4. 마을과 공동체적 삶의 복원
5. 마을 속의 시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