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32.213
18.118.32.213
close menu
KCI 등재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관하여 -레닌과 카우츠키의 보편 논쟁을 중심으로-
On the study of proletarian dictatorship -on focus of an argument about the universality between Kautsky and Lenin-
이재유 ( Jae Yoo Lee )
시대와 철학 25권 4호 365-396(32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209194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이 두 가지견해 중 하나는 레닌으로 대표되는 볼셰비키의 견해, 다른 하나는 카우츠키로 대표되는 견해이다. 그런데 이 두 견해는 서로 상반되고 대립되며 이율배반적이다. 둘 다 자본주의 독재(부르주아 독재)를 해체해야 한다는 회의론적 입장에 서 있다. 다시 말하자면 자본이라는 ‘보편’을 해체해야 한다는 회의론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회의론적 입장은 다시 두 입장으로 갈라진다. 하나는 자본이라는 보편 자체는 원래부터 선험적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상품 사회 내에서 여러 상품들의 ‘동의’를 거쳐서 존재했던 ‘일반적인 것’ 또는 ‘공통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다시금 새로운 ‘동의’를 거쳐서 새로운 일반적인 것 또는 공통적인 것을 도출해 내자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동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즉 자본이라는 ‘물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물질적인 것’으로서의 실체로부터 다시 새로운 판을 짬으로써 자본의 ‘물신’(실체)성을 해체하자는 입장이다. 그런데 전자의 입장은 흄의 경험론적(회의론적) 입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후자의 입장은 데카르트의 합리론적(신회의론적) 입장으로 이어진다. 이율배반이 생겨나는 철학적인 지점은 ‘보편적인 것’이다. ‘보편적인 것’은 철학사에서 일반적으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카우츠키나 레닌 모두 형이상학적·보편적인 것으로서의 물신인 자본을 지양하고자 했다.그렇지만 이 둘 모두 이 보편적인 것을 넘어서고자 했지만 결국 넘어서지 못했다. 그렇다면 이 ‘보편적인 것’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 것일까? 우리는이 물음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칸트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칸트는 자유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타자를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는 보편적인 도덕법칙의 실천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칸트의 자유가 실현될 수 있는 사회가 아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사회는 근본적으로 자본-노동이라는 관계로 묶여 있는 사회인데, 이 관계는 타자를 ‘수단’으로서만 다루고 목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거나, 오로지 목적으로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를 철폐하여 타자를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목적으로 다루는 의무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코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맑스는 코뮤니즘 사회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유로운 각 개인이 서로 연대하는 사회.’ ‘자유로운각 개인이 서로 연대하는 사회’에서 각 개인은 서로를 자기동일화시키지 않지만, 또한 자기동일화시킬 수도 없지만, ‘공통감각’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서서로에게 타자이며, 물자체이다. 예를 들면 가치형태에서 등가형태의 자리에는 항상 ‘자기동일화될 수 없는’, 하지만 ‘공통감각’을 형성하는 타자가 온다. 이러한 타자는 공통감각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공동체에 대립하여 이 특정한 공동체에 보편성을 부여하는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개인이다. 이 개인은 바로 맑스가 말한 ‘사회적 개인’이다. ‘사회적’이라고 할 때, 이는 각각의 개별적 개인의 밖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관계 구조도 아니고, 이 개인들이 특수한 관계 체계에 속해 있다는 의미도 아니다. ‘사회적개인’이라고 했을 때 이 ‘사회’는 특정한 관계 체계 또는 구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초월론적인 의미에서, 즉 일반적인 것이 아닌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관계 체계 자체(즉 물자체)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사회적 개인이며 특정한 관계 체계(공동체)에 속해 있지만 그것을 뛰어넘는 ‘코스모폴리탄’이며, 따라서 (특정한 공동체에 대하여) 물자체이다.

It is largely two position on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One of the two is the Bolshevik position represented by Lenin, the other is Kautsky position. But this two positions are conflict, contrary and antinomic each other. The both are based on the skeptical position which must dissolve the capitalism dictatorship(bourgeois dictatorship). In other words, they are based on the skeptical position which must dissolve the capital as ‘the universal’. But this skeptical position branches off into two. One is the position that derive the new general or common through the new ‘agreement’ because capital as the universal itself is not the transcendental originally, ‘the general’ or ‘the common’ that is with consent of commodities in commodity society. The other is the position that builds a new structure which derives from substance as ‘the non-material’ which enables this ‘agreement’ and the capital as ‘fetish’, and so dissolves the capital as ‘fetish’(substance). But the former is directly connected to Hume’s empiricism position, while the latter to Descartes’s rationalism position. The philosophical point, making the antinomy, is ‘the universal’. ‘The universal’ makes one’s appearance as ‘the metaphysical’ in philosophical history. Both all Kautsky and Lenin tried to sublate capital, fetish as the metaphysical and universal. Nevertheless they did not succeed. So how we can to sublate? We can see the clue o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n Kant. Kant thought that one must practice the universal moral law, ‘treat the other not only as the means but also as the purpose!’, in order to get freedom. But capitalism society in which we live, basically is not the society which Kants freedom can be realized. Because capitalism society is undamentally tied up with capital-labour relation and by the relation the other is treated only as means and not as purpose, or only as purpose and not as means. To abolish the realation and practice the duty, treating the other not only as means but also as purpose, that is communism. Marx talk about communism society. ‘Society, free individuals associate each other.’ In ‘Society, free individuals associate each other’, individuals don’t and can’t self-identify each other, and as being, having a common sense, are the other and thing itself each other. For example, the other, not self-identified always but forming a common sense, takes a place on the equivalent form in form of value. This other is the individual as ‘cosmopolitan’, conflicting to a certain community and giving universality to this community. This individual is Marx’s ‘social individual’. To talk about ‘social’, this is not a certain relation system, existing out of each individual, and does not mean that the individual belong to a certain relation system. To talk about ‘social individual’, this ‘society’ does not mean a certain relation system, in transcendentalism, is the relation system itself(thing itself) as the universal, not as the general. Therefore the individual is social individual and belongs to a certain relation system(community), but the cosmopolitan out of it and so thing itself(opposing a certain relation system).

1. 들어가는 말
2. 레닌으로 대표되는 볼셰비키 입장-데카르트의 합리주의적 입장
3. 카우츠키로 대변되는 견해
4. 맑스의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의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