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32.116
18.216.32.116
close menu
KCI 후보
「문전본풀이」와 「하이누벨레신화」의 비교 연구― "음식기원여신" 모티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Munjeonbonpuri」 and 「Hainuwele myth」 -Based on the "Food origins goddess" motif
김은희 ( Eun Hui Kim )
영주어문 28권 73-110(38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203610

이 연구는 제주도 「문전본풀이」에 대한 재조명이다. 연구의 관점을 바꾸어서 선행 연구에서 논하지 않은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비교신화학적 관점에서 인도네시아의 하이누벨레신화와 비교한다. 「문전본풀이」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지만 이제 비교신화학의 관점으로 인도네시아 서세람 섬의 하이누벨레신화와 비교하면서 이 신화 자료의 의의가 새롭게 조명될 전망을 가지게 되었다. 「문전본풀이」는 기왕에 세 가지 각도에서 연구된 바 있다. 첫째, 이 본풀이를 계모형 설화로 다루었다. 제주도와 우리나라 전역에 전승되는 민담과 깊은 관련을 지니면서 이 본풀이가 지니는 의의를 밝힐 수 있는 관점이다. 둘째, 이를 집안의 수호신담으로 연구하는 관점이 있다. 가정수호신의 기원을 해명하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일정한 빛을 던져준다. 셋째, 이 본풀이를 기원담의 일환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문전본풀이」의 결말 부분에 대한 여러 가지 기원에 관한 요소가 있으므로 이를 연구한다. 이 연구에서는 세 번째 관점을 확대하고 「문전본풀이」가 음식기원신화, 생활도구기원신화, 인간을 괴롭히는 흡혈 곤충 기원신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하이누벨레신화와 비교하면서 「문전본풀이」가 음식기원신화로서의 가능성을 새롭게 해석한 것이다. 음식기원신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노일제데귀일의과 하이누벨레는 각각의 신화 속에서 집단의 외부자로 등장해서 내부에 해를 끼치거나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됨으로써 철저하게 살해되고, 그 사체는 분해됨으로써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내는 신으로써 자리하게 된다. 그들의 죽음은 곧 음식을 만드는 데서 끝나지 않고 음식을 채집, 보관, 가공할 수 있는 도구들의 생산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이 여성신들의 면모는 남성신들이 자신의 희생을 통해서 새로운 농경작물을 생산해내고 농사의 과정을 엄격하게 강조함으로써 감사의례의 주인공이 되는 것과 비교됨으로써 독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This study is refocused about the Jeju Island is about 「Munjeonbonpuri」. Changing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is to compare studies that argue in previous studies. 「Hainuwele myth」 compared with Indonesia west-ceram in comparative mythology myth of perspective. Although much progress has been some ne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pected data now comparing the myths and mythology of Indonesia west-ceram Island 「Hainuwele myth」 in terms of comparative mythology to the study 「Munjeonbonpuri」 is. The 「Munjeonbonpuri」 is studied from three angles. First, the story is covered in the stepmother tales-based model. The stepmother tales is a perspective that can reveal this having a significant while the stepmother tales handed down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 island and closely related tales. Second, this study in terms of the guardian of the house and place it there. In that explain the origins of family deity throws a certain light research. Third, the study originated as part of the wall to the origin tales. The study because it has elements of the various origins of the ending of 「Munjeonbonpuri」 part. Can be summarized as the third point of view, such as zoom and 「Munjeonbonpuri」 food origin myth, the myth originated life tools, insect plague human vampire myths originated in the study. This study is one of the important conclusions that form the origin myth forecast the likelihood of food and a new interpretation by comparing Indonesia west-ceram Island 「Hainuwele myth」 and 「Munjeonbonpuri」 is. This study is incomplete and insufficient, but will had their own significance in the distribution of world mythology in that myth, showing the nature of the invention having a circular meaning of the island.

1. 서론
2.「문전본풀이」와 『하이누벨레』 의 음식기원신화적 면모
3.「문전본풀이」와 하이누벨레 속 음식기원여신 모티브
4. 여신의 살해와 문화적 생산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