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86.138
3.144.86.138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표준어 간섭 및 방언에 대한 의식으로 인한 경남 함양 방언 문법 형태의 변화 연구
The study of the Grammatical Form of Kyungnam Hamyang Dialect and the Change of the Grammatical Form by the influence of Standard Word
류성기 ( Seong Gi Ryu )
배달말 55권 55-92(38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200740

함양 방언의 대명사로는 1인칭 단수는 ‘나, 내’가, 복수로는 ‘우리, 즈이, 내들’이 쓰였다. 그런데 ‘내는, 내한테’는 거의 안 쓰이게 되었고, ‘저, 제’ 형태가 활발하게 쓰이게 되었다. 2인칭 단수는 ‘니, 너, 네, 자네, 당신’이쓰이고, 복수 형태로 ‘너, 느, 너그, 너들, 너그들’이 쓰였다. 이 중 이인칭복수 형태 ‘느, 너그, 너들, 너그들’과 같은 형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재귀대명사는 ‘이녁, 지’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의문대명사는 ‘누, 뭐/머, 무신/먼’이 있었으나 ‘무신/먼’도 안 쓰이게 되었다. 지시대명사 ‘이거,그거, 요것/요거, 저거’, ‘여/여게, 거, 저/저게’가 쓰였다. 10대에서는 모두 표준어와 같게 되었다. 둘째로 조사를 보면 격조사는 대부분 표준어의 격조사와 같으나 주격조사‘-께서’, 관형격조사 ‘-의’, 부사격조사 ‘-에게/께, -으로서, -와/하고’가 방언형에 없다가 60대 또는 10대부터 쓰이고 있다. 대신 ‘-매이로, -만치’는 10대에서는 안 쓰인다. 셋째로 종결어미와 경어법 형태는 명령형 종결어미에서는 아주높임체가없고, 청유형에서는 예사낮춤 형태가 없고, 의문형, 서술형, 감탄형에서는 예사높임과 아주높임 형태가 없었으나 60대 이후부터 ‘-십시오, -세요’와 같은 형태가 모두 쓰이게 되었다. 넷째로 연결어미에서는 대등적 연결어미는 ‘-고, -ㅁ시, -도, -다, -고, -면’등이 쓰이고, 종속적 연결어미는 ‘-어서, -인데, -걸랑, -(으)ㄹ라고, -ㄹ수록,-듯이, -어/아서, -먼, -니, -러, -라고’ 형태가 쓰이고 있다. 보조적 연결어미‘-아/어, -고, -게’가 쓰인다. 그러고 인용 연결어미는 ‘-꼬, -고’가 쓰인다. 그러나 10대에서는 방언형 ‘-걸랑, -라고, -꼬’는 안 쓰이게 되었다. 다섯째로 시제는 표준어와 같으나 종결형 형태에서 미래 형태 ‘-겠-, -리-’는 쓰이지 않고, 대신 ‘-ㄹ 끼다’ 형태가 쓰였다. 이러한 시제 형태는 ‘-ㄹ것이다’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여섯째로 부정 표현은 짧은 부정인 ‘안, 못’ 부정과 ‘-지 말다’ 부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60대 이후에는 방언형에 없던 ‘-지 않-’, ‘-지 못-’ 부정도 쓰이게 되었다. 일곱째로 사동접미사에는 ‘-이-, -이우-, -기-, -히-, -리-, -우-, -구-, -추-, -애-’가 있다. 피동접미사에는 ‘-이-, -기-, -히-, -리-’가 있다. 표준어와 같다. 여덟째로 보조용언으로 함양 방언에서 표준어와 비슷하나 방언형에 없던‘-어 가다, -어 오다, -어 내다, -어 갖고, -지 못하다, -지 않다’ 형태가 60대 이후부터 활발하게 쓰이게 되었다. 아홉째로 부사 형태 중 ‘쪼깨만, 한거석, 제와/보도시, 절로, 까딱하면, 백지’ 등이 60대에서는 0-30% 정도 쓰이게 되었다. 10대에서는 0-10% 정도 쓰이게 되었다. 대신 ‘그냥, 매우’는 안 쓰였으나 60대, 10대 모두에서 100% 사용되고 있다. 열째로 10대에 비해 노인들은 사투리에 대한 비하감을 많이 갖고 있다. 표준어를 배우는 곳은 10대 초반은 학교와 텔레비전이고, 60대 이상은 대부분 텔레비전의 영향을 받고 있다.

1. The first personal pronoun of Hamyang dialect ``na, nae, uri, zeui, naedeul``were used, but ‘nae`` of ``naeneun, naehante`` wasn`t used. But ``jeo, je`` wereused actively. The second personal pronoun of Hamyang dialect ``ni, neo, ne,jane, dangsin`` and ``neo, neu, neogeu, neodeul, neogeudeul`` were used. But ``neu, neogeu, neodeul, neogeudeul`` ``were scarcely used. 2. A postposition is same as the standard word. But ``kkeseo, -eui, -ege/kke,etc were not used in the past but were used now. 3. Final ending and honorific system in imperative final ending, there arenot the most honorific morpheme ``-sipsio`` and the honorific morpheme ``-seyo``. But people from 60s use both ``-sipsio and -seyo``. 4. In the field of connective endings, equivalent ending is used as ``-go, -msi,-do, -da, -go, -myeon`` etc. And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is used by``-eoseo, -inde, -geolrang, -(eu)llago, -lsurok, -deusi, -eo/aseo, -meon, -ni, -reo,-rago``. Auxiliary connective ending is used as ``-a/eo, -go, -ge``. Quotedconnective ending is used as ``-kko, -go``. But people in their 10s, they don``tuse the dialect like ``-geolrang, -rago, -kko``. 5. The tense is same as the standard word, but future tense such as -gess--li- can not be used. Instead of those, ‘-l geosida’ can be used. This form oftense is being used after changed to ``-ㄹ 것ida``6. ``an, mot`` negative expressions and ``-ji malda`` are negative expressions areused. People in their 60s use ``ji an-, -ji mos-‘ forms which were not in thedialect. 7. Causative suffix is formed as ‘-i-, -iu-, -gi-, hi-, -ri-, -u-, -gu-, -chu-, -ae. And ``-i-, -gi-, -hi-, -ri- are passive suffix. They are same as the standard word. 8. The auxiliary verbs of Hamyang are simslariar to standard word. But ‘-eogada, -eo oda, -eo naeda, -eo gadgo, -ji mothada, -ji anhda’ which are absentin the past are used actively from 60s in the Hamyang dialect. 9. The adverbs such as ``jjokkaeman, hangeoseok, jewa/bodosi, jeolro, kkattakhamyeon, baekji`` are used 0-30% percent of people in their 60s. 0-10%percent of teenagers use them. 100 percent of people in their 10s, 60s usegeunyang, maeu. 10. Old people belittle the dialect compare to teenagers. Young people learnthe standard word at school and via television. The age of about late 60s aremost influenced by television.

1. 서론
2. 문법 형태 및 사용 양상의 변화
3.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인식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