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41.214
18.221.41.214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와 시사점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in North Korea
이정복 ( Jeong Bok Lee )
배달말 55권 159-191(33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200760

이 논문의 목적은 광복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를 개관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 북한 언어문화 운동을 1964년을 기준으로 삼아, ‘문맹 퇴치 및 한글 전용 운동’과 ‘문화어 운동’의 두 시기로 나누고, 주요 내용을 기술했다. 제3장에서는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특징과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것과 관련지어 남한의 언어문화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이런 논의 과정을 통하여, 북한의 언어문화 운동이 국가적 지원을 받아 줄기차게 전개된 지속적, 정치적, 대규모의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전체 사회 영역에서 한글 전용을 완전히 정착시키고, 입말과 글말에서의 언어 평등을 이루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한글 전용에 대한 국가의 의지가 강력했고, 말다듬기 운동을 철저하게 진행한 덕분이다. 남한에서도 한글 전용 운동과 말다듬기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아직 한글 전용은 제한적이고, 말다듬기의 성과도 성공적이지 못한 점이 북한과 다르다. 이런 차이가 나타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남한 언어문화 운동의 목표가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사회가 촉진되고 서양 외래어가 급속히 늘어가는 한국의 상황에서, 앞으로도 외래어 순화 등의 말다듬기 운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 평등’이라는 언어문화 운동의 목적을 분명히 세울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history of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in North Korea,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section 2, we divided the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of North Korea into two periods of ``literacy and use Hangul only movement`` and ``cultural language[munwha-eo] movement`` based upon the year 1964, and described the main contents of them. In section 3, we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andimplications of the North Korea`s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Then we thought about new directions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 of South Korea in relation to them. Through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North Korea`s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are political activities on a large scale which were developed persistently by supporting of the nation. As a result, North Korea could fully settle the ``use Hangul only`` at all areas in the entiresociety. It was thanks to the thorough purification of loan words from china. South Korea also promoted consistently the ``use Hangul only movement`` and ``language purification movement.`` However, in South Korea the ``use Hangul only`` is still limited and the result of language purification is unsuccessful.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is difference is at that the goal of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 in South Korea was not clear. There is a need to continuallyprogress purification of loan words in multi-cultural society of South Korea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the words from western languages increase rapidly. We emphasize the need to clearly establish the purpose of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 as a ``linguistic equality.``

1. 머리말 
2.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 개관
3.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시사점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