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4
3.15.202.4
close menu
KCI 등재
제6회 지방선거의 온라인 참여 : 참여유형과 참여효과를 중심으로
Online Participation in the 6th local election
조희정 ( Hee Jung Cho ) , 신경식 ( Kyung Shik Shin )
시민사회와 NGO 12권 2호 117-149(3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186083

이 글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온라인 참여유형을 2014년 이전까지의 참여유형과 비교하여 온라인 참여의 질적 변화가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 고, 참여유형의 변화가 참여도 상승이나 참여문화 활성화 등 참여효과가 나타났는가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2014년의 지방선거는 2010년의 트위터 선거, 2012년의 소셜 미디어 선거 혹은 빅데이터 선거와 같은 온라인 참여에 대한 평가가 무색할 정도로 급 격히 새로운 참여 유형이나 명명백백한 참여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정치 본연의 목적 대로 보자면 지방선거의 온라인 선거운동은 풀뿌리 민주주의 활성화에 기여하거나 지 역 정보 제공에 풍부한 뉴미디어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유권자보다는 후보자의 홍보만이 두드러져 일방적 홍보와 동원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17여년 동안 자유롭게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참여유형이 활발해졌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정치 혐오와 정당 불신 그리고 고질적인 참여 저하가 여전히 문제인 현재의 정치상 황 속에서 온라인 참여가 새로운 돌파구나 참신한 시도에 의한 참여효과를 촉진하는 기폭제로 작동하기에는 여전히 강력한 현실정치의 구조가 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 다. 여러 개입에 의한 플랫폼 무력화 전략과 같은 사건이나 동원만을 위한 기술 이용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 무엇보다 온라인 참여라는 좋은 기회요인을 현실적으로 의미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민주적 전략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전히 일회성으로 끝나는 참여가 아닌 지속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고, 기존의 미디어에 대한 대안으 로서 온라인 참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총선이나 대선에 비해 훨씬 많은 후보가 유권자와 만날 수 있는 기회로서 지방선거를 평가한다면, 한국의 온라인 참여 는 도입기, 전개기, 심화기의 시계열적 흐름을 따라갈 것이 아니라 전략의 가치를 고민 하는 전환기의 매개체로서 온라인 참여의 특성과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types of online participation in the 6th local election.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type effect. Research results, new types were not involved than in the past. Candidate were higher th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voter. Greater participation gap between Seoul and the provinces. Online campaign for local elections, despite the need to contribute to the grass-roots democracy and provide a lot of local information, otherwise showed. Online participation is greatly influential in real politics. The intervention of regulatory or government appears more online. Thus, voters need to worry about the democratic online campaign strategy.

1. 문제제기
2. 온라인 정치참여에 대한 논의 구조
3. 2014년 지방선거에 온라인 선거참여유형과 특징
4. 온라인 참여의 정치 효과
5. 결론 : 참여유형의 다원화와 참여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조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