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13.226
13.59.113.226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
Teachers` Implementation Tasks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재천 ( Jae Cheon Kim ) , 조인수 ( In Soo Cho )
UCI I410-ECN-0102-2015-300-002172754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9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진단·평가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을 조사·분석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10명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합의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진단·평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조사·분석한 결과 총 52개 문항을 도출하였고, 11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6개 영역 11개 하위요소로 재배치하였다. 둘째,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54개의 항목이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제시된 실천과제는 6개 영역(진단·평가의 목적, 진단·평가의 공통검사, 발견 및 선별을 위한 검사, 선정 및 배치를 위한 진단·평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진단·평가, 진단·평가에 대한 이해와 지원), 10개 하위요소(진단·평가에 대한 인식, 기초자료 수집, 발달척도의 확인, 전문가 및 유관기관 활용, 지능과 적응행동 수준분석, 특수교사의 역할, 지원요구 파악, 검사도구의 활용, 목표 설정, 진단·평가에 대한 지원), 54개 항목으로 구조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reby suggest teachers’ implementation tasks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evalu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e have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n 900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 have also used the delphi technique to derive a consensus from 10 expert opinions. Our first major result is that our survey consists of 52 questions with 11 factors, and that we have restructured these into 6 areas and 11 sub-items. Second, the delphi technique led us to 54 rational items for teachers’ implementation tasks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evaluation. The implementation tasks we suggest consist of 6 areas (purpose of diagnosis and evaluation, common test of diagnosis and evaluation, test for detection and screening,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election and placement,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establish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s,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diagnosis and evaluation), 10 sub-areas (awarenes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collecting basis data, identifying development measures, utilizing experts and related institutions, analyzing intelligence and adaptation,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support demands, using test instruments, setting goals, supporting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54 item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