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3.150
18.117.183.150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Awarenes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rriculum Books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정주영 ( Joo Young Jeong )
UCI I410-ECN-0102-2015-300-002172769

이 연구는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초등 특수교사들이 현재 보급된 교과용 도서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고, 교과용 도서의 장점과 단점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과용 도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무엇이고, 향후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초등 특수교사 91명과 특수학급 초등 특수교사 104명을 포함하여 총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재 보급된 국어과 교과용 도서에 대한 평가에서 전체 특수교사와 특수학교 교사는 교재 배열 범주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특수학급 교사는 이용가능성 범주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하지만 개별 항목별 분석에서는 두 집단 모두 이용가능성 범주의 항목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둘째, 국어과 교과용 도서의 장점과 단점으로 두 집단 모두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가능성’, ‘교사의 사용상의 편의성’ 등 6개 영역에 ‘수업준비시간 절약’을 비롯한 11가지의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어과 교과용 도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 대해서는 두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슷한 인식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국어과 교과용 도서의 개선점에 대한 요구에서 두 집단의 교사들은 모두 ‘계열적이고 구조화된 교과서’, ‘개인차를 고려한 교과서의 개발’, ‘중도·중복 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 등 장애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을 고려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을 가장 중요한 개선 사항으로 지적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현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초등 특수교사들은 현재의 교과용 도서에 대해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으며, 이전의 교과서에 비해 많은 점들이 개선되었다고 인식하지만, 여전히 다양한 개인차를 지닌 장애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데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며 이후 다양한 수준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중도·증복 장애학생들에게도 유용할 수 있는 교과용 도서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 survey of 195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wareness o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ooks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Result of this survey was invested by a modified and supplemented survey questionnaire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Ben-Peretz and Tamir(1981). It was used independent t-test and content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os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showed, though many of teachers recognized advanced quality of this books, relatively low satisfaction level of current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ooks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all placement and special school awarded higher marks to the book lay-out,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class awarded higher marks to the usability.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suggested six strength and weakness categories including ‘the usability for all students’, ‘teachers’ usability’, and so on.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showed similar awareness for importance element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ooks. Fourth, the mos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suggested development of curriculum book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of multiple level including ‘systematic and organized curriculum books’ and ‘curriculum book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However, there still remains various problems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ooks. Some suggestion made to improve these problem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