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149.32
18.225.149.32
close menu
KCI 등재
메트릭스를 이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using Matrixes on Problem Behaviors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Inclusive Classroom
문병훈 ( Byeong Hoon Moon ) , 이영철 ( Young Chul Lee )
UCI I410-ECN-0102-2015-300-002172774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보호자의 메트릭스 기반의 체계적 협력을 통한 배경·선행사건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의 감소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였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제행동들은 기능분석과 가설검증을 통하여 수업과 관련된 선행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고 설명 위주의 수업상황이 학습의 흥미와 동기를 낮추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표행동은 연구대상 학생이 통합학급 내 수업활동 중에 보이는 산만행동으로서 연필이나 지우개를 이용하여 행동하기, 몸이나 발 흔들기, 몸을 기울이거나 책상에 엎드리기, 얼굴이나 몸 만지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긍정적 행동지원팀원간 체계적 협력을 위한 메트릭스를 작성·공람하며 연구대상 학생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선수학습을 실시하고 수업활동자료를 제공하는 중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특수교육보조인력과 보호자가 중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메트릭스를 이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연구대상 학생의 통합학급 내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문제행동의 감소가 유지되었으며,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트릭스를 이용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학부모의 팀 협력에 기반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는 메트릭스를 활용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에 대한 제도적 차원의 실행방안, 메트릭스 양식의 개발 및 효과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to view the change of attitude to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econd grade prim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 Target behaviors were to act using a pencil or eraser, to shake body or feet, to tilt or drop the body on the desk, to touch face or body. They were defined as distracting behaviors. Problem behaviors were found to be caused by the lack of the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s related to classes by functional analysis.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this research had proceeded by analysing material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 classroom teacher and by interviewing for mother and by weaving matrixes set the schedul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inclusive classroom teacher etc. Using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across settings, the frequency of the student``s problem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partial-interval reco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s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ective in reducing behavior problems and was maintained. Second, attitudes to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was changed positivel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