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80.244
18.189.180.244
close menu
KCI 등재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젠더디자인 개념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냉장고의 그래픽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oncept of Gender Design in Product Design -Centered on analysing graphic element of refrigerator-
이주현(주저자) ( Ju Hyun Lee ) , 이유진(공동저자) ( Yoo Jin Lee ) , 박승호(교신저자) ( Seung Ho Park )
UCI I410-ECN-0102-2015-600-002128119

본 연구는 광의적 개념으로써 젠더디자인의 필요성을 말하고자 하고, 제품디자인에서 젠더정체성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찾고자 했다. 현재 젠더디자인 연구의 현황을 본 후, 젠더 개념의 확장과 젠더디자인 개념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했다. 젠더와 동일시되는 여성성이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특정 제품을 선정했다. 여성성을 가장 강하게 대표하는 제품군인 냉장고를 선정하여 그래픽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가사 공간의 냉장고에서 젠더는 상당히 국한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미 여성이란 굳건한 고정관념이 내재했고 많은 이해관계들이 얽혀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확장된 젠더 개념 구현을 위한 대안 제시가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제품군으로 디지털 기기를 제시했다. 물론 이 제품군도 냉장고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능, 사용 빈도, 사용 공간 등을 심도 깊게 고려한다면 젠더 의미를 확보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제품군이라 판단했다.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성별로 강요되지 않는 젠더 개념의 정립을 바탕으로, 젠더디자인이 사용자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시각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면 정체성과 사용성의 융합이 가능할 것임을 살펴보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realize gender identity in product design. After reviewing the present research, it was foun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notion of gender and to redefine the concept of gender design. Specific products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ity. Refrigerators, which represent the femininity the best, were chosen and analyzed based on the graphic elements. As a result, the concept of gender have been used quite limitedly in a refrigerator. Since the stereotype of women has already been implicit, it was considered difficult to propose an alternative plan for realizing the extended concept of gender. Therefore, digital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a potential alternative group. This product group, of course, has a limitation like the refrigerators. However, when functions, frequency of use, and use of space are considered in depth, It can be a possible group that holds the meaning of gender in design.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in identity and usability when the graphic elements of a product are constructed by gender design that considers the identity of a user through redefining the concept of gender.

1. 서론
2.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의 ‘젠더디자인’
3. 제품디자인에서 여성성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과 대안 가능성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