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14
3.145.191.214
close menu
KCI 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 탐색
Review on Directions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in Comparison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서영진 ( Young Jin Seo )
화법연구 27권 101-137(3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118506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화법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지 속적으로 강조해 온 화법 교육 내용 요소와 해외 여러 나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 하여 교집합을 이루는 핵심 내용들을 추출하고, 그 과정에서 포착된 화법 교육 내용 구성상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해 살핀 교육과정은 우리나 라 교육과정 중 제6차.제7차.2007 개정.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 정과 미국.호주.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이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국가별 교유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 는 내용 이해를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기, 비판적 듣기, 상황.목적 에 적절하게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말하기, 상대방과 협력적으로 상호교섭하며 생각 발전시키기, 반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 활용하여 말 하기, 다중복합매체를 활용하여 이해하고 표현하기, 사회적 활용도 및 전이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담화 유형 익히기(발표하기, 토의하기, 토론하기)였다. 한편 각 교육과정을 고찰하면서, 담화 유형 중심 접근 법과 의사소통 일반 원리 중심 접근법의 의의, 화법 교육 내용 조직의 계속성과 계열성 구현 방안,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적절한 교육 내용 진술 방식,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구어 의사소통의 활용,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교섭적 성격의 체계적 반영 등 과 관련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제시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은 세가지이다. 첫째, 국내.외 화법 교육 내용을 관통하는 요소를 참조하며 전이가가 높은 필수 핵심 내용을 엄선해야 한다. 핵심 내용을 엄선 할 때는 보편적.항존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되 변화지향적.특수적 요소도 고려하며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개별 담화 유형에 특화 된 내용을 우선하기보다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 두루 적용되는 원리를 중심으로 심화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조직해야 한다. 셋째, 화법 교 육 내용 개발 방향 및 역량 기반 교육의 취지를 고려하여 내용 진술 수위를 조정해야 한다. 표준적인 필수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하 되, 장기적으로는 간소화 방향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화법 교육에서 핵심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과정 설계 논의를 풍성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다.

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of contents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would satisfy expectations of current nation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ving focused on contents of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actors continuously stressed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s and commonly emphasized factors i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from various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and key factors in common were deducted accordingly. Furthermor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were evaluated for the study. Comparisons were made taking account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English curriculums in the USA, Australia and the UK. Commonly stressed education contents between Korean curriculums and the foreign curriculums were found as follows: proactive listening while asking qu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critical listening, selecting and organizing proper things to speak, developing ideas by cooperative transaction with others, speaking with semi-verbal expression & nonverbal expression,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with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tudying discourse types of wide application. Some more crucial aspects were found to be :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focused types and general communication skills ineducation contents, guaranteed continuity and sequenc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proper statement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general capacity building of communication in cross-curriculums, systematic reflection of transactive nature in oral communication. This study resulted in three directions of developing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an era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there should be quantity optimization of core contents selected proportionately based upon universal and perennial application, change oriented or unique contents. Secondly, there need to be systematic core and substantial contents with widespread application that can be studied repeatedly in depth. This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general capacity in cross-curriculums. Lastly, more simplified education contents, not very substantive, with an overview or general guidelines,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though it is quit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uld be able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regarding core education contents in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promote positive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tent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4. 화법 교육 내용의 개발 방향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