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81.209
3.22.181.209
close menu
KCI 등재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 연구
A Study of Hong Kong Korean Beginners` Refusal Expressions
폴리롱 ( Polly Loong )
화법연구 27권 139-174(36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118511

본 연구는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HS)와 한국어 모어 화자(KS)의거절 표현 양상을 문화적·언어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초급 학습자를 위 한 거절 표현 및 문화 교육 내용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홍콩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담화완성형 설문지로 HS 10명과 KS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의 진행에 따른 거절 표현의 사용 양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HS보다 한국어 수준이 더 높은 홍콩 학습자 11명을 비교 집단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총 8명의 KS와 함께 학습자의 거절 표현을 평가하였다. 거절 표현 분석 결과 HS는 직접 부정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거절 이유를 언급하기 전에 청자 체면을 보완하고 본인의 거절 부담감을 줄이는 전략으로 먼저 사과를 표현하는 경향이 높았다. KS의 경우 간접 부정 표현 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사과 표현뿐만 아니라 이유 대기, 대안이나 연기 의 제안으로 청자의 체면을 보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에서 한국의 고맥락 문화와 완곡 표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단정 적인 거절 표현, 사과 표현의 남용, 문체의 오용 등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KS가 자주 사용하는 거절 표현은 한국어 초급 교재에 포함 되어 있으나, 한국어 사용 능력 부족뿐만 아니라 문화적·언어적 차이 때 문에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콩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습 진도에 맞추어 초급단계부터 문화 이해 교육 측면에서 한국어 거절 표현을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speech act and cross-cultural approach to analyze the refusal expression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KS) and Hong Kong Korean beginners (HS). The refusal research was conducted by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on 10 HS, 20 KS and 11 Hong Kong students of high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lso, 8 KS joined the analysis process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ents’ DCT resul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HS used more direct negation expression than KS. Also, they used apology expressions before the refusal reason as refusal strategy and to reduce their refusal psychological burden. On the other hand, KS preferred using indirect negation expressions and they used fewer apology expressions than HS, but they tended to use alternatives and postponements as alternative refusal strategies. In conclusion, most of the grammatical patterns required to perform direct and indirect refusal expressions were already learnt within the beginning level and the misuse of refusal expressions and style, as well as the overuse of apology expressions were due to insufficient pragmatic and cultural competenc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korean refusal expressions to HS in order to increase their Korean pragmatic and cultural competences.

1. 서론
2. 거절 화행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홍콩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거절 표현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