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66.206
3.16.66.206
close menu
KCI 등재
개화기 한일 양국어 학습서의 특징 연구 -문법 관련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udy Books for Foreign-language Learners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Focus on the grammatical aspect-
윤영민 ( Young Min Yun )
일본연구 23권 171-201(31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94245

본 연구는 일본인 및 한국인 일본인 공저에 의해 저술된 한일 양국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그 편제와 구성 및 내용의 분석을 통해 당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과 그 체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19세기 말 갑오개혁을 전후한 개화기 이전과 이후부터 20세기 초 전기(前記) 현대 한국어로 진입하는 시기까지의 한국어 문법 체계와 당시 일본어 문법의 경향을 함께 살펴보는 동시에 일본어 문법의 영향이 한국어에 어떻게 반영, 투영되었는지 알아봄으로써 근현대 한일어의 교섭과 접촉의 일면을 밝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寶迫繁勝는 『韓語入門』과 『日韓善隣通話』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인구어의 문법체계와 일본어 문법 용어의 병용(竝用)을 통해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日韓善隣通話』는 전통적인 한글 자모 체계와 맞지 않으며, 일본어의 ‘50音圖’식으로 한국어 발음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와 함께 방언과 경어에 대한 소개와 나름의 체계화도 보이고 있다. 셋째, 『單語連語日話朝雋』은 한국인 대상 일본어 학습서로서 문법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은 많지 않지만, 일본어 언어 체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적절하게 한국어에 적용하고 구현하였다. 『捷解新語』와 유사한 형식적 잉여성과 띄어쓰기, 적절한 번역과 쉬운 표현의 사용도 주목할 만하다. 넷째, 『實用韓語學』은 현대 한일 양국어 문법의 초기 확립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1880년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20여년 사이에 일본어 안에서의 문법 및 문체 변화에 나타난 과도기적 성향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Korean and Japanese study 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cludes co-authors of the Korean and Japanese).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content of said materials, the aim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the grammar and system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ook influences from each other at the time. By researching material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which took place from before until after the late-19th-century Gabo Reform,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all the way up to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n grammar system and the aspects of Japanese grammar of the time and tries to decipher 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is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 connection and contact between modern-age Korean and Japanese work tod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rough 『韓語入門』 and 『日韓善隣通話』, seems to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grammar in Korean learning. This kind of tendency seems to have been brought about because of efforts to systemize Korean gramma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Indo-European grammar system and Japanese grammar terminology. Secondly, 『日韓善隣通話』 does not correctly present the traditional Hangul alphabet system but instead presents Korean pronunciation using the Japanese ‘50音圖’ method. In addition to this, the text has its own way of systemizing dialects and honorifics when introducing them in the text. Thirdly, as a study material of Japanese for Koreans, 『單語連語日話朝俊』 does not offer much from a grammatical aspect, but instead throug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language system it helps the reader to apply and realize the language through Korean. Similarities with the formality redundancy and spacing as well as use of appropriate translations and easy-to-understand expressions as in 『捷解新語』 are also worthy of note. Fourthly, 『實用韓語學』 can provide us with observations of different aspects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grammar. It compares the first Korean study materials from 1880, and one can get the idea, however slight, that the transitional inclin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changes in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style in 20 years was significant.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학습서의 고찰
IV.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