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71.34
3.12.71.34
close menu
KCI 등재
가족의 회복인가 해체인가? -카프카의 『변신』과 무라카미 류의 『최후의 가족』에 나타나는 가족문제
Normalization or Dissolution? -family problems in Die Verwandlung by Franz Kafka and in The last family(saigo no kazoku) by Murakami Ryu
서유정 ( Yu Jung Seo )
UCI I410-ECN-0102-2015-800-002087915

사회의 최소단위로서의 가족은 다른 사회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역사적 변천과정을 겪는다. 기독교와 전통에 의해 ‘성스러운 가족’이라는 신화가 강화되면서 공적영역으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하고 가족구성원간의 친밀감을 제공해주는 시민가족은 서구 개인주의의 발달과 맞물려 뚜렷한 윤곽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이러한 시민가족의 형태는 점차 해체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대안가족의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20세기초에 출간된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변신』(1915)과 21세기 초에 출간된 일본작가 무라카미류의 소설 『최후의 가족』(2001)은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2세대로 이루어진 근대시민가족이라는 공통된 배경을 갖고 있는 소설로 가족 내의 소통의 문제, 일과 폭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두 작품은 표면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결말을 제시하고 있다. 카프카의 경우 해충이 된 아들의 죽음으로 가족은 다시 평화를 회복하고 그 사이 성숙해진 딸을 통해 가족이라는 체제가 존속되리라는 희망으로 끝난다. 해피엔딩으로 보이는 결말이지만 가족과 개인 간의 갈등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어 가족은 출구 없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류의 경우 히키코모리 아들과 아버지의 실직이라는 가정 안팎의 문제를 구성원 각자가 가족 외적인 관계를 통해 나름대로 해결하게 된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 가족이야!”라고 외치면 끝난다. 그렇다면 약 1세기라는 간격을 두고 있는 이 두 작품은 가족이라는 전통적인 이상의 회복을 다시 꿈꾸고 있는 것인가? 결코 아니다. 카프카의 경우시민가족에 대한 회의와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류의 경우 개인을 억압하는 구조로서의 가족의 해체를 분명히 말하고 있다. 그 해체란 다름 아닌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주체의 부활이다.

The family as the smallest social unit is, just like all the other social systems, subject to social and historical changes. Christianity and Tradition fortify the myth of the ``sacred family`` as a natural given condition, which falls apart more and more since the modern era. Shielded from the public and offering familiarity to its members, the family as a shelter has taken shape more clearly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individualism. Nowadays there are multiple forms of family an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lternative forms of family in a time, when the traditional form of the bourgeois family is gradually getting in dissolution. The story of the novella Die Verwandlung(The Metamorphosis, 1915) by Franz Kafka, pub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at of the novel The last family(saigo no kazoku, 2001) by Murakami Ryu take place despite all cultural and temporal differences against the common background of a modern two-generation-family with all its internal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work and violence. Both works give an overview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family and serve as an excellent example of a comparative literature. On the surface these two stories have a similar end, but they run in fac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is no way out in the conflict between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in the case of Kafka, whereas Ryu makes the reader of his novel feel that there could be another way. The family in Die Verwandlung seems to have its peace at the very moment when Gregor, the useless vermon-son, dies(or be killed). And his parents dream of the survival of the system ``family`` through their by now grown up daughter, which seemingly means a happy ending. To the contrary the japanese novel comes to a good end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family overcomes the inner and outer problems such as Hikikomori-son and the concealed joblessness of the father as each family member obtains autonomy by means of extra-familial relationship. The already dissolved family comes together once again and the father shouts cheerfully "We are a family!". Do both families still dream of the old ideal of the ``sacred family`` at an interval of one hundred years and succumb to the sway of the family-ideology? By no means! Although both works make mention of the ``family`` quite often, there is actually some scepticism about the bourgeois family in the case of Kafka, whereas the novel of Ryu expresses an explicit call for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family. And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s fetter, which suppresses the individual means nothing but the rebirth of the autonomous and free subject.

I. 사적영역으로서의 가족의 형성과 해체
II. 『변신』 - 출구 없는 순환구조로서의 가족
III. 『최후의 가족』 - 출구를 찾아서
IV. 가족의 회복인가 해체인가?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