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0.203
3.14.70.203
close menu
KCI 등재
『청루운어(靑樓韻語)』 체례 연구
A Study on the stylistic Rules and Layout of 『QingLouYunYu(靑樓韻語)』
권호종 ( Ho Jong Kwon ) , 이봉상 ( Bong Sang Lee )
UCI I410-ECN-0102-2015-800-002088321

본 논문은 『청루운어』의 여러 판본의 모본이라 할 수 있는 명 만력44년 간본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체례에 대해 정리하였다. 『청루운어』는 『표經』이라 불렸던 책의 문장을 강목으로 삼아 시를 분배하는 독특한 체재를 보인다. 『표經』은 『청루운어』 간행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서적인데, 『청루운어』 편찬자가 어떻게 『표경』을 활용ㆍ편집하여 『청루운어』의 경목과 작품을 어떠한 규칙에 따라 배열하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청루운어』의 전체적인 편찬 체례가 어떠했는지 분석했다.33) 『청루운어』에서 『표경』이라 지칭한 서적은 현재 기준에서 볼 때 李贄가 편찬한 『開卷一笑集』에 수록되어 있는 『風月機關』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 『풍월기관』의 경문에 대해 여러 사람들이 주석을 달아 편찬ㆍ유통하면서 대중에게 유포되었고, 그러한 서적들은 일용유서와 같은 생활에 유용한 백과사전류의 서적에 실려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청루운어』도『풍월기관』의 경문에 근거하여 주석을 달았다는 점에서는 앞서 언급한 책들과 성격이 비슷할 수는 있으나 체례면에서 큰 차이가 존재한다. 즉, 『청루운어』는 경문에 대한 주석을 부기하는 동시에 경문의 내용을 반영할 수 있는 핵심 키워드인 ‘경목’을 설정하였고, 각 ‘경목’에 어울리는 시ㆍ사ㆍ곡과 같은 작품을 선별하여 수록했다는 점이다. 『청루운어』의 기본적인 체례는 ‘경문→경문주석→경목→작품’의 순서이며, 경문의 순서는 『풍월기관』의 순서를 따랐고, 경목은 경문에 출현하는 어휘를 선별하여 배치하였고, 작품은 조대순에 따라 배열하였다. 이때 동일한 작가들의 작품일 경우에는 경목의 의미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작품을 우선 배열하였으며, 중간중간에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삽입하였다.

This dissertation has researched the stylistic rules and layout of the Emperor Ming Wanli 44 years` edition, which is the original copy among the various existing printings of 『QingLouYunYu』. 『QingLouYunYu』 shows a unique format dividing the poems into subdivision with sentences in a book titled 『PiaoJing(표經)』. The book 『PiaoJing』 existed before the publishing of 『QingLouYunYu』, and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overall style rules of 『QingLouYunYu』, examining the rules by which 『QingLouYunY u』`s subdivisions and literary pieces were arranged and the way how the compiler used and edited 『PiaoJing』. 『QingLouYunYu』`s basic style rule is in the order of ‘the Scripture`s Sentences → the Annotations of Scripture`s Sentences → Subdivision → Literary Pieces``. The order of Scripture`s Sentences abided by the order of 『FengYueJiGuan(風月機關)』, and the subdivisions were placed by choosing words that appeared in the scripture` sentences. If the pieces were of the same author, the pieces that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subdivision`` were placed first, and pictures were inserted to assist the reader`s understanding.

Ⅰ. 들어가는 말
Ⅱ. 經文의 출처
Ⅲ. 經文과 經目
Ⅴ. 작품배열
Ⅴ.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