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47.221
3.141.47.221
close menu
KCI 등재
국민가인의 패전 -사이토 모키치의 전쟁책임과 전후 단카
The Defeat of the National Poet: The War Responsibility of Saito Mokichi and Postwar Tanka
박지영 ( Ji Young Park )
UCI I410-ECN-0102-2015-800-002088336

이 글은 국민가인으로 일컬어진 사이토 모키치(齋藤茂吉)의 단카가 전쟁으로 얼룩진 일본근대의 한 시대를 어떻게 이끌었는지, 그 위상과 역할을 객관적 시각으로 재검토 한 것이다. 전시기의 모키치는 진심으로 천황의 성전을 믿고 앞장서서 국민들을 전쟁에 동원한 국가의 대변자였으나 천황의 종전조서 발표와 함께 ‘침묵’을 선언했다. 이 침묵의 성격은 의도된 포즈로서의 침묵으로, 패전이라는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울분과 항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전쟁책임 추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일체의 윤리적 판단이나 반성을 회피하고자 하는 태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묵을 통해 자연영으로 급선회한 전후의 그의 단카는 가장 순수한 비탄으로 거듭났으며, ‘나라는 망했어도 산천은 남았다’는 수사를 환기시키며 국민들을 위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후의 모키치 단카가 보여주는 놀랍도록 아름다운 언어는 당시의 일본 국민들에게 분명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였겠지만, 한편으로 일본의 피해자 의식을 조장했다고 할 수 있다. 잘못된 국가이념이나 역사적 과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침묵 속에 봉인함으로써 과거에 대한 단죄나 수정의 계기를 소거했기 때문이다. 오로지 감상적 비애와 재생에의 희구를 노래할 뿐, 어떠한 인식론적 전환도 없이 전쟁중에서 전후로 이어져간 그의 단카는 따라서 패전 후 70년이 흐른 현재의 시점까지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이미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iece of writing reexamined what kind of influence the national poet of the time, Saito Mokichi had on the modern Japanese era by his Tanka which was smeared with war and figured out its status and role in an objective view. During the wartime, Mokichi was a person who spoke for the public and sincerely believed in the Japanese emperor`s holy war and brought the people to take part in the war but declared ``silence``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Protocol of the war`s end by the Emperor. This silence was an intended posture which was devised out of anger and protest that did not admit the reality of defeat. Moreover,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behavior to protect himself from the war responsibility and avoid moral judgment and regret. Postwar Tanka which rapidly turned toward a nature poem through this silence transformed itself into the purest grief and comforted the public by stirring up the public opinion that ``Nation fell but mountains and streams stood``(A phrase from Dubo`s poem 「Chunmang」). In one aspect, the amazingly beautiful language of Postwar Tanka by Mokichi was a message of salvation and hope to Japanese but promoted Japan`s victim mentality in another aspect. This is because it erased the opportunity for punishment or correction of the past by sealing it in silence after being unable to properly perceive the wrongful state ideology and the historical mistake. His Tanka, which solely deals with sentimental sorrow and desire for recovery and carried on during and after the war without any epistemological conversion, symbolizes a problem that remains unsolved for 70 years after the war.

Ⅰ. 서론
Ⅱ. 전시기의 모키치 - 국민가인의 자각과 역할
Ⅲ. 국민가인의 전후 - 침묵, 또는 현실 확인거부 증후군
Ⅳ. 전후 재생의 논리 - ‘나라는 망했어도 산천은 남았네’
Ⅴ.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