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71.15
52.15.71.15
close menu
KCI 등재
특집 1 : 미디어융합과 한국문학의 재매개 ;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에 대한 시고
Soundscape and Social Body
임태훈 ( Tae Hun Lim )
반교어문연구 38권 15-40(26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91042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은 시각과 청각의 이분법을 따르지 않는다. 소리와 듣기를 초역사화된 개별 감각의 본성 속에서 규정하는 작업에 반대하며, 이른바 ‘소리의 문화사’로 분류되는 연구 경향과도 구별되고자 한다.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은 오히려 ‘몸만들기의 문화사’에 더 가깝다. 이 연구에서 ‘소리’란 청각에 한정된 현상만이 아니라 몸 전체로 체험하는 ‘울림’을 의미한다.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물리적인 음(音)부터 정동적 에너지, 정보의 흐름 등이 총망라된 세계와 몸이 상호작용하는 관계망을 뜻한다. 이 울림의 관계망을 미디어 환경과 신체화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이 연구가 지향하는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이다. 인간의 환경세계를 둘러싼 각종 장치가 새롭게 구성되고, 그 장치들에 얽힌 사회 정치 경제의 연결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추적하는 역사적 작업이다.

Soundscape Culture` does not follow the dichotomy between the visual and auditory. The opposition to the work in defining the nature of the sound and listen to the second historization individual sense, the so-called distinct research trends and also become classified as cultural history of sound. ``Soundscape Culture`` is rather closer to the cultural history of social body. Only limited to the auditory phenomenon is ``sound`` in this study refers to as ``ringing`` of experience throughout the body. ``Soundscape`` is the physical sound (音) from affect, global and exhaustive body, such as the flow of information means network to interact. The network of sounding a media environment and somatization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e center of interaction-oriented research soundscape culture. Various devices and new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human world, the historical task of tracking how you are entangled in a network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device.

1. '소리'의 싸개(包)
2. 관계의 울림
3. 시각 중심주의 너머의 카오스모스
4. 미디어 격변기의 사회적 신체
5. 사운드스케이프와 문학
6. 문학사와 문화사의 접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