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4.164
52.14.14.164
close menu
KCI 등재
특집 2 : 개화기 및 현대국어 형성기 국어의 고찰 ; 20세기 초 유성기 음반으로 본 모음 “ㅚ, ㅟ”의 발음에 대하여
Respect to pronounce of “ㅚ, ㅟ” vowels in the 1920s~1940s
조아람 ( A Ram Jo )
반교어문연구 38권 195-224(30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91108

본고는 1920∼40년대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의 음성자료를 중심으로 모음‘ㅚ, ㅟ’의 음가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사용한 자료는 《신나라 레코드》에서 발매한 ‘유성기 대중가요 음반세트’의 CD 23장이다. 총 28명의 가수가 노래한 156곡 중에서 모음 ‘ㅚ’나 ‘ㅟ’를 포함한 297음절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모음 ‘ㅚ’의 경우 주로 /w/계 상향 이중모음으로 가장 많이 발음되었고, 나머지는 단모음 [Ø], [e], [i], [o], [y] 등으로 발음되었다. 단모음 [Ø]는 ‘ㅟ’의 단모음 [y]에 비해서는 많이 발음되었는데, 그중 대부분이 동북지역에서 발음되었다. 반면, 동남지역의 발음은 다른 지역들과 비교하여 가장 여러 가지의 발음을 하고 있다. 모음 ‘ㅚ’는 동북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미 상향 이중모음의 발음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모습을 보였으며, 드물게 단모음 [Ø]가 발음되었고, 선·후행 요소나 개인차에 따라 수의적으로 발음되는 다른 발음들을 볼 수 있었다. 모음 ‘ㅟ’ 역시 /w/계 상향 이중모음으로 가장 많이 발음되었다. 모음 ‘ㅚ’의 발음처럼 [we], [we] 등의 발음도 조금 있었는데, ‘ㅚ’와 다른 점은 하향 이중모음 [uj]의 발음이 적은 수이지만 나타난다는 것이다. 단모음으로는 [y], [i], [u], [e] 등의 발음이 나타나고, 이 중에서 단모음 [y]의 발음은 ‘ㅚ’에서 나타난 단모음 [Ø]와 비교하면 적게 나타난다. 지역적으로는 서북 동북지역에서 각각 두번씩, 서남 동남지역에서 한 번씩 나타나는 등 지역적 차이가 크지 않았다. 모음 ‘ㅚ’는 하향 이중모음([oi/oj])의 발음을 보이지 않은 반면, 모음 ‘ㅟ’는 하향 이중모음([ui])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모음 ‘ㅚ’에 비해 그 음가의 변화 속도가 더디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The studies is to observe the phonetic value of ‘ㅚ’ and ‘ㅟ’ based on audio materials of gramophone records of pop music in the 1920s~1940s. The materials used to this thesis are the 23 compact discs (CD) which were originally recorded on gramophone records released from . I have studied 297 syllables including vowels of ‘ㅚ’ and ‘ㅟ’ among 156 songs which a total of 28 singers sang. First of all, in the case of ‘ㅚ’, it was most pronounced as on-glides with /w/ and the rest of all was pronounced as monophthongs like [ø], [e], [i], [o], [y] etc, including [wi] pronounce like a diphthong of ‘ㅟ’. In comparison with a monophthong [y] of ‘ㅟ’, a monophthong [ø] is more pronounced and most of them were pronounced in the northeast. On the contrary, the pronunciations of the southeast had a variety of ones compared to other regions. A pronunciation of vowel ‘ㅚ’ was already dominated by pronounced on-glides with /w/ throughout the regions except the northeast. In addition, a monophthong [ø] was rarely pronounced depending on phonemes or individual differences. Next, a vowel ‘ㅟ’ was also pronounced most as on-glides with /w/. There were a few pronunciations like [we], [we], as pronounced as a vowel ‘ㅚ’, but the difference with there were pronunciation of an off-glides [uj] though there were a few. The pronunciation like [y], [i], [u], [e] etc, in monophthongs appeared and the pronunciation of [y] among them hardly appeared compared to the monophthong [ø] of ‘ㅚ’. There were not many regional differences as there were seen two times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each and one time in the southwest and southeast each. A vowel ‘ㅚ’ wasn`t pronounced as off-glides with /j/ which are [oi/oj]. On the contrary, a vowel ‘ㅟ’ was pronounced as an off-glides /j/ which is [uj]. In light of these, it is experted that a vowel ‘ㅟ’ has been made a slower rate of pronunciation variation than a vowel ‘ㅚ’.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정리 및 논의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