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3.123
3.145.23.123
close menu
KCI 등재
설문대할망의 창세신적 특성과 변모양상 -주변민족 여성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 of Creation divine in Seolmundaehalmang story -Comparison between goddess myth of the near minorrity race
허남춘 ( Nam Choon Heo )
반교어문연구 38권 311-347(3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91128

설문대할망 이야기는 지금 전설로 남아 있다. 할망이 밥 짓고 빨래하고 바느질하던 흔적도 있고, 할망이 놓다 만 다리도 있다. 대개는 할망의 실패담이며 그 끝에는 죽솥에 빠져 죽었다거나 물장오리에 빠져 죽었다는 비극적인 전설이다. 그런데 할망이 한라산과 360여 개의 오름을 만들었다는 지형 형성의 이야기가 있어 우리를 주목하게 했다. 그것은 창세신화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하는 이야기에 덧붙여 바다에서 흙을 퍼올려 섬을 만들었다는 창세신화도 보인다. 이런 여성 창세신은 동아시아에 보편적이었다. 유구(琉球)에는 붙어 있는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는 여신 아만츄가 있다. 중국소수민족 신화에도 여신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킨다. 아부카허허는 하늘과 땅의 공간을 구분하고, 이어 낮과 밤의 시간을 구분하는 여신이다. 유구의 아마미쿄는 아만츄의 변형인데, 천상의 흙을 가져다가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천상에서 가져왔다고 했지만, 일부 이야기 속에는 바다 저편에서 가져왔다는 흔적이 있어, 수직적인 세계관에 앞서 수평적 세계관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수직적 세계관은 천상과 연결되고, 천상이 남신과 연결된다. 창세신화는 서서히 여신에서 남신으로 바뀐다. 만주족 신화를 예로 든다면, 아부카 허허는 뒤로 물러나고 아부카언두리라는 남신이 천지를 창조한 것으로 변모한다. 제주도 <초감제>에서는 도수문장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고 했다. 그 후 하늘과 땅은 저절로 개벽한다는 이야기로 바뀐다. 천지혼합의 상황에서 어느 날 천리가 분리된다고 했다. 인격신이 등장하던 이야기는 사라지고 비인격신의 이야기가 나타난다. 음양과 청탁의 기운으로 천지가 분리된다고 하는 일본 신화의 예를 보더라도 신화 속에 중세 합리주의적 사고가 작용하게 된다. 여성신에서 남성신으로 바뀐 신화체계는 지속된다. 여성신 이야기는 계속 풍화된다. 할머니 신은 마고나 노고가 되고 산신으로 숨어든다. 설문대할망도 음부로 물고기를 잡거나 사냥을 하는 세속화된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전락하고 만다. 그런데 왜 우리 시대에 갑자기 여성신이 호출되는가. 설문대할망 이야기가 다시 부활한 것은 나름의 연유가 있을 것이다. 여성신의 순수증여와 사랑은 남성신의 횡포와 우승열패의 신화가 횡행하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하기도 했다. 원시와 고대의 신화 속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사람과 다른 생명체,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작용하기도 했다. 여성신화의 부활 속에서 우리는 경쟁의 사회에서 공감의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미를 느낄 수 있다. 무한 경쟁으로 지구를 파멸시켰던 근대문명을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을 중시하는 정신이 창세신화를 통해 회복되기를 기원하는 바람으로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Seolmundaehalmang story is left as a legend now. There was also a trace where an Grandmother(Halmang) cooked rice, washed and did needlework, and there is also a bridge an Grandmother made. It`s a failure story of the Grandmother and is the tragical legend which fell in the vowel and died. By the way there is a topography formation story that an Grandmother made Halla Mountain and 360`s small mountains, and the story become focus of public attention. That`s a mark of a creation myth. And there is the motif which she separated a universe and the creation myth which made an island Jeju. Such female creation of the world is general in East Asia. There is Amanchu goddess who separate sky and ground in Okinawa. Such goddess are many in Chinese minority race, for example Abukaheoheo. Amamikyo(transformation of Amanchu) of Okinawa brought soil on the sky and made an island. There was story that brought it from sky, but there is the trace which brought from the sea other side. There was a horizontal view of the world prior to a vertical view of the world, I looked. The vert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connected in the sky, and the heaven can be connected to the male deity. The Creation myth gradually turns into a male deity instead of goddesses. After many time has passed, A male deity separate the sky and the ground in the myth in Jeju Island genesis. This story of the male deity turned into the story that sky and the ground was created naturally. There was said that one day sky and the ground was separated in the situation of the nature mixture. The mythos which turned into a male deity from a goddess was continued. As for the goddess story, it is weathered all the time. The old woman becomes Mago and becomes a mountain god. By the way, why is a goddess asked to come suddenly in the present times? There will be some reasons why a Seolmundaehalmang story revived again. The tyranny of the male deity produced a myth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such a myth laid the rat race. The pure donation and love of the goddess solve the problem. There is an important message in primitive and ancient myth. We must restore desirabl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etween human and different all creation in a myth. Through woman mythical revival, we can appear in the society of the sympathy from the competition. I reflect on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wasted the earth, and hope that mind to make the human inside is restored through a myth.

1. 서
2. 창세신화의 흔적
3. 설문대할망 신화의 재창조
4. 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