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7.244
3.141.27.244
close menu
KCI 등재
안동의 지역성과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지역문화콘텐츠 제안
Locality of Andong and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Proposition of one Local Culture Contents
고순희 ( Soon Hee Ko )
UCI I410-ECN-0102-2015-800-002083679

최근 소개된 13편의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가운데 안동에서 창작한 작품이 7편이나 된다. 이 점은 안동의 지역성과 무관하지 않다. 이 연구는 안동의 지역성을 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로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안동의 지역성을 살폈다. 첫째, 안동은 규방가사 창작의 중심지였다. 필사본 규방가사 자료가 가장 많이 수집된 지역은 안동으로 나타난다. 안동여성은 가사 창작을 일상생활문화의 하나로 지니고 있었다. 둘째, 안동은 독립운동의 메카였다. 안동은 독립운동가를 가장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특히 경술국치 후 안동유림은 만주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안동유림은 만주로 망명할 때 문중 전체를, 특히 여성을 동반해 갔다. 다음으로 안동 여성이 창작한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을 살폈다. <위모사>, <간운사>, <조손별서>, <눈물뿌린이별가>와 <송교행>, <답사친가> 등의 작가는 모두 안동 명문대가에 속한 여성이었다. 이들 작가는 자신의 문중이 만주 독립운동에 가담함으로써 극적인 삶의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그것을 가사로 표현했다. 이들이 쓴 가사에는 고국을 떠나는 처참한 심경, 고국에 있는 부모·형제·동기에 대한 그리움, 만주에 가 있는 딸·친정식구 등에 대한 그리움, 나라를 빼앗긴 울분, 자신이나 육친이 만주로 망명하기까지의 과정, 만주생활, 독립운동의지의 고취 등이 서술되어 있다.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의 창작은 안동의 두 가지 지역성이 작용한 결과였다. 즉 안동이 규방가사 창작의 중심지였다는 점과 안동이 독립운동의 메카라는 점이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가사는 안동의 지역성을 총체적으로 드러내주는 훌륭한 지역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들 여성도 양반가 문중의 일원이었으므로 이들의 가사창작문화도 양반문화에 편입되어야 한다.

Recentry as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13 pieces were identified. Among 13 pieces, the gasa to create by Andong peoples are 7 piec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hibit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as the contents which well reveal the locality of Andong. Some researchers collected manuscripts of female Gasa. According to their statistics, manuscript Gasa materials are the most collected in Andong region. Andong was the center region to create and enjoy Gasa. Gasa creation of Andong women was one of the everyday life culture. But in the meantime studies on the nobility culture of Andong did not notice it. Andong is the famous city that hitorically there are many independence movement persons. The scholars spirit of Andong nobility have performed the dramatic role in the Colony Period. Especially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ong nobility have exiled to Manchuria, have involv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re. The point worth noting is that Andong nobility have gone together in Manchuria with women. The female writers of these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are members of famous Andong nobility. Their life have dramatically changed because their family men had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have expressed their new life by Gasa.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could be created in the condition of the combining two locality of Andong discussing earlier. Therefore Gasa relating to Manchuria Exile could be local culture contents to reveal comprehensively locality of Andong. And because of that these women are members of Andong nobility, their Gasa creation culture need to be incorporated in Andong nobility culture.

1. 머리말
2. 안동의 지역성
3.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4. 맺음말 : 지역문화콘텐츠 제안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