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246.203
18.224.246.203
close menu
근대 학교 교육과 국어 독본
The Modern schooling and a reader of Korean Language
박치범 ( Chibeom Park )
한국어문교육 17권 1-30(30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079034

이 글은 광복 이전에 발간된 독본 형태 국어 교과서의 성립 과정과 그 특징을 국어 교과서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는 근대적 학교교육과 국어 교과의 성립을 전제로 한다. 대한제국의 근대적 학교 교육은 1895년 반포된 교육입국조서를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대학교 교육에서는 독서, 작문, 습자 등의 ‘국어’와 함께 한문을 정규교과로 설정하였다. 이 때 국어는 주로 근대 지식을, 한문은 전통적 가치관을 주로 다루는 교과로서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수신의 경우 전통적 가치관의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이 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국어과 한문, 그리고 수신 교과는 모두 국문과 한문이라는 언어를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국어 교과서의 형태는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모아 놓은 독본의 형태가 되었으며, 독본은 최초의 국어 교과서로 인정되는 ?국민소학? 이후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 삽화, 연습문제 등 다양한 교육적 장치를 수용하면서 변화하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birth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at published as a formation of a reader in the period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language textbook is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chool and the system of the subjec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schooling shapes up in 1895, at that time there is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classics in the school.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takes on the modern knowledge, the Chinese classics do the traditional values and a subject of moral culture takes on both above-mentioned. Thus, for the propriety toward that system of the subject, the form of a reader, namely anthology, is appeared. And the form of a reader is changed by addition of the early literacy instruction material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1. 서론
2. 시적 공간인 섬진강의 형상화 양상
3.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