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81.81
3.22.181.81
close menu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비판적 검토
Review on the new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김상희 ( sang hee Kim )
한국어문교육 17권 81-110(30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079069

교육부는 창의 인성 교육에 적합한 평가 제도의 개선을 취지로 하는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2011)을 발표하였다.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평가 방법의 질적 혁신’과‘성취 평가제 도입’이다. ‘평가 방법의 질적 혁신’이란 학생의 창의성,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서술형 평가와 수행평가의 질적 제고를 추진하는 것이다. ‘성취평가제’는 학생들 간 상대적 서열 중심의 규준 참조 평가 또는 상대평가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목표 중심의 준거 참조 평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기존 절대평가제도가 절대기준만을 강조하여 성적 부풀리기에 취약했던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성취 평가제’도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까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성취 평가제 안착을 위해 국어과 성취기준, 성취 수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trigger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and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nsequential need to help teachers to understand the new version of the curriculum when carrying out the achievement standard-based evaluation at school. Existing absolute valuation system lacks teaching-learning assesment based on standard, and vulnerable to bubbling of grades, so newly coming in achievement standard-based evaluation intended to compensate for such shortcomings. However there are issues being exposed until the new system settled dow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the hierarchical and interconnected relationship and the organization of their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directions of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assessment system.

1. 들어가기
2. 지식의 종류
3. 문법 지식에 대한 재고
4. 나오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