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62.247
3.17.162.247
close menu
이용악 시 연구 -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
The Study for Lee Yongak's poems
최은자 ( Eun Ja Choi )
한국어문교육 17권 253-281(29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079110

이 연구는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을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용악은 1930-40년대 식민지 시대 우리 민족의 궁핍하고 고통스런 삶을 탁월한 기법으로 형상화하여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이뤄낸 시인이다. 내용상으로 이용악 시는 전체적으로 실향의 고통과 귀향에 대한 소망, 가난으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절망, 일제치하 민족의 고난과 비극적 삶, 유이민의 삶의 비애 등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내면의식은 앞의 시어 분석을 통하여 주로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들에 의해 형상화되거나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은 ‘길’, ‘하늘’, ‘바다’, ‘거리’, ‘산’, ‘(두만)강’, ‘북(쪽), ‘집’, ‘고향’, ‘항구’ 등이다. 이러한 시어들은 위 네 가지 내면의식을 표출하는데 있어, 각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차별적으로 분리됨이 없이 혼합하여 쓰이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용악의 시는 형식면에 있어서, 서정 양식의 기법에 서사적 방법을 수용하여 시적 표현 양식을 확장시킨 시인으로 평가받는데, 이러한 시적 표현방법은 자신의 가난한 삶의 체험을 개인적 서정에 국한하지 않고 보편적인 체험의 영역으로 확대시키는 데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현실을 냉철하게 통찰하는 안목으로 객관적 현실을 그리면서 나아가 민족적 삶의 비극을 다루는 것으로 확장시켜 나아간다. 본고는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용악 시의 시어가 지닌 의미를 파악하고 이용악의 내면세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용악의 시 세계에 좀더 가까이 접근하려는 노력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가 이용악 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작은 성과이기를 바라며, 앞으로 다른 각도에서의 시어 분석이나 또 다른 시연구 방법을 통하여 이용악 시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inner consciousness of poet, Lee Yongak through classification by words. The words was expecially focused on space. Lee is a main poet who created many poems about anguish life for 1930's - 1940's, especially Japanese colonial era. He achieved his own characteristic method of literature. Lee Yongak expressed his poor and anguish life with the poetic language about space. In his poets there are many poetic words about space, for example, road, sky, back, sea, mountain, river, house, north, street, hometown, port etc. The words of space were mixed extensively in his poems. On the side of contents, he expressed four main topics with these words of space in his poems. First theme is the pain of lost hometown and expectation for coming back hometown. He was borned in Hamgyungbukdo Kyungseun, north of Korea, very cold and barren place. So his hometown was released as the place of escape from poverty. But after escaping from hometown, he tried to come back his hometown. Second theme is the individual anguish and despair. Third theme is the national suffering and tragedy and fourth is the tragedy of drifting and emigrant persons. On the side of form, he properly used the method of lyric and expressed his individual emotion but also he made from his individual experience to generalizing experience. Besides he expanded his emotion to the national tragedy through this descriptive method. This study achieved to approach to Lee Yongak's inner consciousness more closely. And it is needed to study continuously about Lee Youngak with other various ways.

1. 머리말
2. 현대극 교육의 현황
3. 현대극 교육의 과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