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9.177
3.144.189.177
close menu
KCI 등재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임윤진 ( Yun Jin Lim ) , 최유현 ( Yu Hyun Choi )
UCI I410-ECN-0102-2015-300-00207603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pecialized school teacher in invention·patent field and to explore the program improvement idea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on survey method and using program evaluating model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are 39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 about invention·patent field at CNU-IECT(Invention education center for teache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on August 2, 2014. The 37 questionnaies were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1980)``s needs assessment formula. The evaluating model was developed by the team.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needs of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s was high.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high. Thir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s was high. Fourth, the improvement ideas were divided into four area - 1)The status quo area, 2) the alternatives exploration area, 3) the strategy modifications area, 4) the expected expansion are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