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74.55
3.142.174.55
close menu
KCI 등재
지역간 격차와 지역내 격차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경기도 31개 시군을 사례로
The Policy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parities and Urban Area Gaps: the Case of 31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장영호 ( Young Ho Jang )
지방행정연구 29권 1호 99-125(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68966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가 다른 지역의 격차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향후 지역간 격차와 지역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경기도 31개 시.군이며, 선행연구 등을 통해 지표를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지역 간 격차와 지역 내 격차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CHAID 알고리즘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간 격차의 경우 인구, 복지, 재정 등 다양한 영역에 있어지자체별 격차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경기도 동북부지역의경우 세제혜택, 규제완화를 통해 기업투자를 유인하는 등 합리적인 대안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격차현상은 도시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 현상으로 의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역내 격차는 지역간 격차현상과는 별도의 현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고 이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앞으로는 지역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침체지역이나 낙후지역, 쇠퇴지역에 대한 유형별 맞춤전략이 필요하고 주민이 체감되고 지역현실을 감안한 지역밀착형 정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regional gaps on a different regions of the spatial range. And we suggest that it can solve regional disparities and urban area gaps over the preferred alternative. The study range is 31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indicators were chosen through such previous studies.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for GIS spatial analysis and CHAID algorithm to find out regional disparities and urban area gaps. The results for the regional disparities could see gaps in a variety of fields(population, welfare, finance etc) that appear different levels of local government. Especially, we need to offer a rational solution to increase business investment through tax reduction, deregulation in northeast area. Also it could mean a social exclusion and inequality that exists in urban spatial sort of a disparity problem that occurs in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 separate a regional disparity problem and to make a differentiated strategy. In result, it would be plan the custom-strategy of each types to release the regional disparity in stagnation region, depressed region, decline region. Considering the local reality and a friendly experience of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region-based policies.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개요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