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83.24
3.17.183.24
close menu
KCI 등재
항일 조선인 병사의 연극
Anti-Japanese Korean Soldiers` Plays
윤진현 ( Jin Heon Youn )
UCI I410-ECN-0102-2015-800-002052072

본고는 일제강점기 연안과 임천에서 활동했던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 등 항일 조선인 병사들의 연극을 탐색하였다. 좌우를 막론하고 중국군의 일부로 편제되어 있던 이들 항일조선인 병사는 연극, 노래 등 각종 공연장르를 매개로 자신의 현실을 표현하고 목표와 의도를 선전하였으며 특히 중국인 관객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공감과 연대를 이끌어내었다. 이는 국권회복의 과정으로서도 대단히 중요한 일이지만 주체적으로 정의와 가치를 결정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식을 창안하며 일상과 문화적 표현의 일치를 실현한 중요한 역사적 사례이기도 하다. 본고는 항일투쟁의 체험을 기록한 작가 및 항일병사들의 기행문, 회고록 등을 기반으로 항일근거지의 공연 환경과 공연에 참여한 병사들의 상황과 심리를 추적하였으며 특히 남북한의 경우는 이들의 작품을 소홀히 다루고 있는 데 비해 연변조선족연극사의 경우 적극적으로 문화적 정체성의 중심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에는 특별히 주목된 바없는 임천의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내 한국광복군 훈련반의 연극 김준엽의 <광명의 길>을 중심으로 일본군 학병으로 징집되었다가 탈출한 조선인 병사가 그 과정을 극화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광명의 길>은 열악한 군대환경 내에서 조선인 병사들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위한 필사의 기획이었다. 실제 사실에 근거한 형상화는 자기표현성과 선전성의 극대화에 대단히 효율적인 방식이었다. 이는 중국군의 지원과 별개로 조선인 병사들이 자신들을 위한학습과 표현의 노력을 경주하였다는 사실과 아울러 이것이 중국인을 향한 선전과 설득의 일환이기도 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은 학병에서 탈출한 자들로서 1940년대 일제말 조선인 징병제도가 갖는 폭력성과 강제성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항하는 미적 전략을 구사한다. 아들을 전쟁터에 내보내는것으로 여성에게 가상의 공민권을 부여했던 식민지 조선 내부의 ‘군국의 어머니’ 담론 등 총동원정책에 대항하여 국권과 ‘어머니’의 죽음을 동격화하고 이로써 독립운동에 투신한 자신들의 결단과 실천의 정당성을 설명하였다. 이것은 항일근거지의 연극이 일제의 문화정책에 저항하면서 전개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실로서 그간 국내의 연극활동을 넘어 한국연극사가 재고해야 할 대상임을 의미한다. 이 같은 관점을 통해 일방적인 검열과 통제의 대상으로 일제에 대한 협력만을 보여줄 뿐 문화예술적 긴장을 발견하기 어려웠던 이 시기 한국연극사가 단일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Anti-Japanese korean soldiers who were engaged in Korean Independence Army, Korean Volunteer Corps etc. in Yanan and Chongqing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expressed their own reality through the medium of various performance genres such as songs, dances as well as plays and propagated their targets and intentions, especially they drew wide sympathy and solidarity from chinese audience. This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but in the sense that they were important historical cases which determined justice and value independently and initiated the method to express this and realized conformity between daily lives and cultural expressions. In the basis of travel essays, memoirs etc. of writers and anti-Japanese soldiers who recorded experien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nti-Japanese struggles, the performing environment of anti-Japanese base and the situation and mentality of th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it has been reviewed in this study that dramatical history of Korean Chinese people in Yanbian takes their works as center of cultural identity actively, while south and north Korea treat them carelessly. In addition, centered on Kim Junyeop``s play , which has never drawn attention before and been performed by training class of Korean Independence Army, the method for Korean soldier who was conscripted as a student soldier and escaped, to dramatize anti-Japan was reviewed. First of all, was a desperate planning for Korean soldiers who could not feel their existences in bad army circumstances, to identify their existences, which was based on the fact of their own to maximize the reality, through which not only the propaganda for people against enemies was made but the criticism against and persuasion for Chinese nationalist party leadership were promoted. This approach based on real fact was a very effective imagery method in maximizing self expression and propaganda. In addition, they, who were escaped from student army, were comprehending violence and forcibleness which Korean conscription system had in 1940s`` end of Japanese imperialist era and were making use of aesthetical tactics in the way to protest against this. Against general mobilization policy such as discourse theory‘militarist mother’ of inside colony Chosun which provided women with hypothetical citizenship by sending their sons willingly to battlefield, they identified national sovereignty with death of ‘the mother’ and explained justification of their determination and practice by this that they devoted themselves to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a fact showing that anti-Japanese base``s plays were developed protesting against Japanese imperialists`` cultural policy with extending the object of dramatical history which has been limited to domestic dramatical activities so far, and this means that Korean dramatical history is the one requiring reconsideration. The fact that Korean dramatical history is not simple one during this period when nothing but the coope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t was shown as the target of unilateral censorship and control cultural, while artistic tension could not be identified,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viewpoint.

Ⅰ. 머리말
Ⅱ. 연변 조선족사에서의 항일연극
Ⅲ. 중국군대에서 조선인 병사의 문화환경
Ⅳ. 항일 참전기의 연극화 : 김준엽의 <광명의 길>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