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71.15
52.15.71.15
close menu
KCI 등재
<해녀 노 젓는 소리>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양상
General Edition : Ecofeminism Aspect Presented in
하경숙 ( Kyung Sook Ha )
온지학회 2015.01
온지논총 42권 303-327(2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50381

자연은 끊임없이 살고자 하는 일련의 의지의 과정이다. 그 중에서 해녀는 예로부터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강한 힘을 지닌 여성집단이다. 이들은 신체적으로 나약한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험난한 바다와 싸우며 바다를 작업의 터전으로 삼아 다양한 해산물을 채취한다는 점과 특수한 장비가 없이 상황에 따라서 20m까지 들어가는 초인간적인 힘을 보여준다. 이들이 지닌 의식은 무엇보다 <해녀 노 젓는 소리>에 나타난 오늘날의 에코페미니즘과 연결 지어서 생각할 수 있는데, 오늘날 여성주의 (feminism)는 남성 위주의 권력투쟁과 전쟁의 양상이 아니라 여성성과 바로 연결되는 에콜로지(ecology)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그래서 ‘환경여성주의’로 변역되는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이 새로운 가치체계로 주목된다. 에코페미니즘은 보다 근본적인 생명의 재생산의 주인공인 여성을 중심에 두는 주의이다. 여성은 여성이 아니라 만물의 근거이다. 남자의 생산주의는 여러 면에서 한계를 드러냈다. 에코페미니즘은 한때 이성주의가 강조되었던 만큼 오늘날 절실하다. <해녀 노젓는 소리>에는 바다를 배경으로 그들의 강인한 생활력과 의식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바다라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속성을 그들의 모성과 연계하여 생각할 수 있고, 또한 순환과 상생이라는 의미에서 자연공간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이 지어 부르는 노래 <해녀 노젓는 소리>를 통해서 그들의 삶의 치유과 성찰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해녀 노젓는 소리>는 시공을 초월하면서 이어지는 장르임과 아울러 그 때 그 순간 새롭게 창조되고 있는 공통적이면서 개별적인 매우 가치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Nature is a series of process of will that wishes to constantly live. Among them, women divers are female group with strong power that has lived in the nature from the past. Even though they are physically weak women, they show superhuman power that collects various sea foods under the sea, fighting against tough sea and dives up to 20 meters without special devices. Their perception can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ecofeminism of today that is presented in among them, and today’s ecofeminism awakens the importance of ecology directly connected to femininity, not man-oriented power dispute and war aspect. Therefore, ecofeminism that is translated with ‘Environmental Feminism’ takes center stage as a new value system. Ecofeminism is the philosophy focusing on females who are main characters of reproduction of more fundamental life. Females are the basis of universe, not women. Male’s productivism exposed its limitation in many aspects. Ecofeminism is very essential today because rationalism has been once emphasized. explicitly shows women’s strong vitality and sense in the background of sea. Traits contained in the space of sea can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women’s maternal instinct, and a natural space may be considered in the sense of circulation and coexistence. In addition, healing and introspection of their life can be identified through made by them. In this sense, is a genre connected beyond the time and space, and a common and individual, valuable work that is newly created from time to time.

Ⅰ. 머리말
Ⅱ. <해녀 노 젓는 소리>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의 의미
Ⅲ. <해녀 노 젓는 소리>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특성
Ⅳ. <해녀 노 젓는 소리>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의 가치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