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54.106
18.191.254.106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Effects of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Depending on Positive Self-Perception
김지은 ( Ji Eun Kim ) , 이민규 ( Min Kyu Rhee )
상담학연구 16권 1호 129-146(1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3992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자기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매개효과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중학생 486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 사회불안의 상관을 조사하였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매개로 하는 사회불안 모형을 가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집단 분석을 사용하여 자기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외상경험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 사회불안과 정적으로 자기지각과는 부적으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측정모형 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수용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상경험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 사회불안에 가는 경로계수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가는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고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으므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다집단 분석을 통한 자기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매개모형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경로에서만 차이가 나며 자기지각 긍정성이 낮을수록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and social anxiety,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s the difference in mediation effect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ccording to positively self-percep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of 486,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of adolescen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anxiety was investigated. Thereby, measurement model, conform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 were demonstr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fter as sumption of model for social anxiety. From multi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MSEM), difference of mediating effect caused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hich was related to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on the social anxiety, depending on the self-percep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raumatic experienc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self-perception, however, i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anxiety, respectively. Second, goodness of fit from measurement model show generally reliable, in addition, path coefficients of both from traumatic experience to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anxiety, and from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o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ce. Third, partial of mediating effect caused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 was demonstrated vi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on the social anxiety. Fourth, mediating model based on positive level of self-perception, according to the MSEM, signified not only that path from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o social anxiety was differences, but also tha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ve important effect in the social anxiety when positive self-perception is low. Finally, we discussed the clinical agreement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work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