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168.28
18.188.168.28
close menu
KCI 등재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s Mediators
김은미 ( Eun Mi Kim ) , 이종연 ( Jong Yeun Lee )
상담학연구 16권 1호 147-174(2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399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이별 후 성장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모형으로는 세 개 변인(불안애착, 회피애착 및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세 개변인이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통해서만 이별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평가한 결과 연구모델이 최종 선택되었다. 최종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집단 간의 구조적 관계, 그리고 연인과의 이별 경험 1년 미만과 1년 이상집단 간의 구조적 관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애착은 이별 후 성장에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그리고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차례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이별 후 성장에 직접효과만 갖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은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로, 그리고 의도적 반추와 문제 중심대처를 차례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반면, 연인과의 이별 기간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상담자들이 연인과의 이별로 인한 괴로움을 호소하는 대학생들과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데 있어 이들이 이별 괴로움에서 벗어나 이별 후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들의 내적인 요인들과 인지적 과정, 그리고 연인과의 이별기간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mediated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of the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romantic berekups. The research model was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have direct effects and also have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 competition model was fully mediation model in which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have direct effects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as a final model.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gender differences and breakups periods differences were analysed with the final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It was found that anxiety attachment has in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in turn. And It was found that avoidance attachment has only 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ego-resilience has in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mediated through the order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b)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weight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eakups periods in the structural weights of anxiety attachment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ego-resili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These results show that college counselors need to explore their internal factors and cognitive processes, and breakups periods for their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