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96.211
18.223.196.211
close menu
KCI 등재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양난미 ( Nan Mee Yang ) , 이은경 ( Eun Kyoung Lea ) , 송미경 ( Mi Kyoung Song ) , 이동훈 ( Dong Hun Lee )
상담학연구 16권 1호 175-197(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399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외상 후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성인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외상경험이 있다고 자기보고(self-report)한 서울, 경기, 부산, 경남지역의 여자 대학생 357명이었고 설문지는 외상경험 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 후 성장 척도로 구성되었다. 외상경험 유형, 사건 당시 고통정도 및 외상 후 기간경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는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 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인관계에서의 외상이 여자 대학생들에게 가장 일반적이고 고통스러운 외상사건으로 보고되었고 둘째, 외상사건 유형, 사건 당시의 고통 정도 및 외상 이후의 기간은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셋째, 회피애착과 문제해결 중심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넷째,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ve traumatic life events and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female college students. A sample of 357 female students who reported a traumatic event from Seoul, Gyeonggi,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w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scales such as Traumatic Life Event, Attachment, Stress Coping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were conducte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traumatic events, distress level, and distress perio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 of attachment and coping strateg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display higher frequencies in traumatic events regarding on relational issues(family or relatives`` loss, family conflicts, relational problems etc.,). Secondly,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uch variables as traumatic events, distress level, and distress period. Third, avoidant attachment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