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79.88
3.128.79.88
close menu
KCI 등재
특집2: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의 교류와 변전 : 『자본론』 번역과 일본 국가사회주의의 흥기 - 타카바타케 모토유키(高전素之)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The Capital』 and rising of National socialism in Japan - Focused on Takabatake Motoyuki
강문희 ( Mun Hee Kang )
반교어문연구 39권 199-239(41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34974

동아시아에서의 사회주의 텍스트 번역에 대한 연구는 기왕의 번역 개념어 비교나 운동사, 사회사 연구를 기반으로 삼아, 번역자와 그 주변을 경유하여 나타난 효과를 보다 자세하게 논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써 이글은 우선 『자본론』 번역자들의 텍스트에 대한 태도와 이해방식을 고찰하고, 그 중 동아시아 최초의 『자본론』 완역자인 타카바타케 모토유키(高전素之)의 번역이 성립된 현실적, 이론적 조건을 논증하고자 한다. 타카바타케는 마르크스라는 충격에 대한 대응으로써 번역이라는 방식을 선택했고, 이는 번역의 선취에 대한 욕망, 마르크스와 자기를 일치시키려는 실천이었다. 번역과 문필대리업에 있어서 근대적 형태를 취하면서 사회주의자들의 글쓰기를 뒷받침해준 ‘매문사’는 이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는 이를 자신의 국가사회주의라는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고 실행할 계기로 삼았으며, 적극적으로 이를 활용하고자 했다. 또, 타카바타케는 진화론의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주의의 결합을 주장했다. 여기서 국가=국체와 사회주의라는 충돌하는 두 가치는 모순되지만 모순되지 않는 것처럼 결합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사회주의의 고전이라고 불릴 만한 텍스트인 『자본론』의 번역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떠한 모습을 드러내는지 그 역동성을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자본론 번역의 검토는 일국 번역사안의 한 텍스트의 번역이라는 문제 뿐 아니라 한일 근대 비평의 개념적 장을 지배한 사회주의적 지식의 성립, 또 초기 자본론 번역의 예기치 않은 결과로서 형성된 국가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사상적 움직임 등을 다각적 차원에서 구명하는 데 유효할 것이라 여겨진다. 나아가, 근대 사회주의 텍스트를 대하는 주체의 접촉과 충격의 순간, 그리고 이를 전유하는 맥락을 어떻게 전파-수용-이식-확산이라는 도식을 지양하면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 또한 본고가 염두에 두는 중요한 지점이다.

The study on translation of socialism text in East Asia needs full and detailed discussion about the effect which has been revealed by translater and his surroundings based on comparison of existing translated concept words or study on movement history and social history. As a work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quickly examine the attitude of 『The Capital』 translaters on the text and ways to understand it, and among them this study will verify the realistic and theoretical conditions of accomplishing Takabatake Motoyuki``s translation, who is the first complete translater of the 『The Capital』. Takabatake chose translation as the way to response on shock of Marx, and it was desire for the first translation and the fulfillment of the concordance of Marx and himself. The ``Maemun-Sa`` which had taken modern system in the business of translation and writing agency and supporting the socialists for writing had a great role for it. He took this a motivation to form and carry out a theoretical background of his national socialism, and tried to use it actively. And Takabatake asserted the unity of nation and socialism based on the evolution theory, in here he united two contradictory values of the nation=national identity and socialism as they are not contradicted. So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to catch the dynamics that what shape the translation of the text 『The Capital』 which could be called as classic of the socialism in East Asia revealed through what process. The translation is considered that it is effective not only to figure out the history of a national translation but also various dimensions including system of Korea Japan literature field and its formation. Further more, the agony that how the contact of main agents who face at modern socialism text and the moment of its shock, and context of exclusive possession of it do not fixate the diagram of propagation-acceptation-transplant-expansion is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is study.

1. 오역(誤譯)된 근대의 마르크스 : 번역사 및 사회주의 담론장 형성에 대한 재고
2. 번역과 반역(反譯)으로서의 『자본론』 성립, 경합하는 번역장
3. 리터러리 에이전시 ‘賣文社’ : 매문으로서의 번역, 글쓰기와 실천
4. 타카바타케 모토유키의 국가론과 국가사회주의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