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19.251
3.129.19.251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Deprived Areas in Korea
이영아 ( Young A Lee )
UCI I410-ECN-0102-2015-300-002023545

본 논문의 목적은 빈곤지역의 전국적 분포 및 형성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빈곤지역 형성 원인을 밝히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리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전국의 3,470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기초생활보장수급가구 비율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은 빈곤층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던 반면, 도시지역에서는 빈곤층이 도시 내부의 노후한 주거지역과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집중되어 있었다. 특히 1989~1992년까지 공급된 영구임대아파트는 빈곤층에게 저렴한 주택을 제공하였으나 동시에 거주지 분리를 발생시켰으며, 그곳에 사는 주민들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빈곤지역의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은 주거지 혼합이 아니라 지역별로 빈곤 수준에 맞춘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배분을 조절하는 방식의 지리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ause of forming deprived areas and to explore the geographical strategies for figuring out poverty issues by mapping the distribution of deprived areas and explaining the formation process. Analysing the recipient household rate by wards (eup, meon, dong), deprived people in rural areas were rather evenly distributed comparing with those in urban areas. Poor people have been segregated in deprived residential areas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urban areas. In particular, permanent rental apartments supplied between 1989 and 1992 have caused residential segregation despite the contribution to the provision of affordable housing. This paper does not agree the need of residential mix policy to solv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neighbourhood effects, but suggests some geographical considerations on diverse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allocate welfare service resources to each local deprived area.

1. 서 론
2. 빈곤지역에 관한 논의
3. 빈곤층 밀집 지역의 분포
4. 빈곤지역 형성 과정
5. 결론: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지리적 대응방안
註
文 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