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18.147
13.59.218.147
close menu
KCI 등재
『골동록(汨童錄)』소재 일화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The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f Anecdote Contained on 『Goal-dong-rok(汨童錄)』
한의숭 ( Eui Soong Han )
어문론총 63권 181-207(2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981956

본고는 18세기 영남지역에 거주했던 팔우헌(八友軒) 조보양(趙普陽, 1709~1788)에 의해 편찬된 필기집인『골동록(汨童錄)』의 수록 일화를 중심으로 서술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골동록』에 수록된 일화의 경우 주로 인물에 대한 특징적국면을 포착하여 기록한 이야기가 대부분인데, 편찬자인 조보양의 출신 지역 및인근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기록한 견문잡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골동록』소재 일화의 서술양상은 3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다. 첫째, 견문기록이긴 하나 구전된 것을 기록하는 것에 있어서도 명확한 기록의식이 저변에 깔려있음과 아울러 편찬자의 주관적 의식이 뚜렷하게 개입된 양상을 띄고 있다. 둘째, 『골동록』에 수록된 일화의 경우 골계(滑稽)를 지향한 작품이 확인되며, 이들의 경우 하층민에 의해 골계가 구사된 일화를 통해 서사적 지향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전기(傳奇)』,『전등신화(剪燈新話)』등 중국문언소설 및 ‘전기수’관련 기록 등을 통해 편찬자가 소설을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용 일화〉와 같은 한문단편소설을 수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골동록』에 수록된 일화는 골계나 신이적 성향을 띤 것도 있으며, 서사적 윤색이 가미된 작품도 보인다. 그러면서도 지역과 주변에 대한 기록을 강화한 로컬리티의 성향 또한 발견된다. 때문에 『골동록』전반에 걸친 의식지향은 주변과 일상 등 ‘나’를 중심으로 한 기록정신이 반영되어 있으면서 병세인에 대한 ‘따뜻한 공유’ 또한 지향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통해18세기 영남 남인이 가지고 있었던 의식 지향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단순히 학맥(學脈)이라는 폐쇄적 관점으로 해석할 것이 아닌 ‘로컬리티’의관점으로 시각을 전환하여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그랬을 경우 국지적 개별 양상이 아닌 경향성을 가진 유의미한 학술 전통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talks about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method especially focused on 『Goal-dong-rok』which is published by Paul-Wu-Hurn Joe-Bo-Yang (1709~1788) once dwelled on the region of young-nam in 18th century. In case of some anecdote carried on through 『Goal-dong-rok』, most of the records are about the stories capturing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it shows specific regional characters based on the geographical regions where the author, Joe-Bo-Yang, is born and raised. The description method of anecdote in 『Goal-dong-rok』 draws our close attention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even though those records are descended without proper documenting method, it shows that the author``s intention towards the clear spirit of record is fundamentally innate through the records and author``s subjective opinion is clearly based on its record. Secondly, some of the stories carried on 『Goal-dong-rok』 shows aspects pursuing ``Goal-Kye`` and those cases confirm a hint of descriptive method through a story which developed ``Goal-Kye`` written by ``low-class people``. Third, it seems that the author could have sense of novels through the wording novel and ``jeon-gi-soo`` related records like 『jeon-gi』,『Jiandeng Xinhua』and so on and based on it the author could publish Chinese Short Collection like The author``s consciousness reflected on 『Goal-dong-rok』seems to have pursued a reinforced form of low-quality records rather than to pursue a fictional form flavored with some descriptive characters. Because of it, the aspects of consciousness throughout the whole story of 『Goal-dong-rok』 reflected ``the spirit of record`` focused on ``surroundings``, ``daily routine``, ``me`` and so on. It also can be understood as reaching out to realize ``warm share`` about ``contemporary`` Therefore the aspects of author``s consciousness reflected on 『Goal-Dong-Rok』could be understood as it showed a glimpse of characters that young-nam southern people possess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this aspects not with just ``Hangmaek`` which is closed viewpoint but with a converted viewpoint of ``locality``. Then it could be recognized as a meaningful academic tradition with tendency rather than with local and individual aspects.

1. 머리말
2.『골동록(汨蕫錄)』 소재 일화의 서술 양상
3.『골동록(汨蕫錄)』의 편찬의식과 그 의미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