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90.101
3.135.190.101
close menu
KCI 등재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Research on Group Supervision
고홍월 ( Hong Yue Gao ) , 홍지선 ( Ji Seon Hong ) , 전호정 ( Ho Jeong Jeon ) , 조수연 ( Su Yeon Jo )
상담학연구 16권 2호 97-119(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98265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문과 영문으로 발표된 집단 수퍼비전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7편의 학술지 및 학위논문에 대해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의 구체화 수준, 집단 수퍼비전의 구성요소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수퍼비전 과정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수퍼비전 성과 연구가 6편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연구대상에 따른 집단 수퍼비전 연구의 대부분은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많이 활용한 연구방법은 총 13편으로 질적연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화 수준에 따른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3수준의 연구가 전체 63%로 가장 높았으며, 집단 수퍼비전 구성 요소 중 수퍼바이지의 특성과 역량에 대한 내용이 24.3%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수퍼비전 연구가 현장에서의 중요도와 활용도에 비해 매우 미흡하고, 다양한 수준의 구체화 연구가 요구되며, 집단 수퍼비전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개발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상담자 교육 훈련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집단 수퍼비전 성과요인의 상대적 역할 및 중요도를 분명하게 제시하지 못한 점이며, 향후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집단 수퍼비전의 과정변인 및 성과변인 등을 구체적으로 밝혀내기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es on group supervision. Twenty seven articles published during two decades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participant, methods, level of specification, components and features of group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 studies among all were placed into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process, and researches on the group supervision outcome were 6 studies. Seco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the most widely used in that 13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hird, supervise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researches as a participants. Fourth, three level researches are the most(63.0%) in the aspect of specification level. Fifth, study on character and capacity of supervisee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24.3%).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Firstly, researches on group supervision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and the application level. Therefore, the number of research must be increased, and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participants, methods, and specification level of research must become more varied. Secondly, test for measuring outcome of group supervision must be developed. Thirdly, research on developing program for training counselor based on the appropriate measurement was requir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role and relative importance of outcome and process factor were not examined concretely.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outcome and process factor of group supervision must be revealed based on more empirical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