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1.121
3.137.171.12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장미애 ( Mi Ae Jang ) , 양난미 ( Nan Mee Yang )
상담학연구 16권 2호 273-292(2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98273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회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애착회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80명의 대학생이었고 측정도구는 삶의 만족도척도(SWLS), 성인애착척도(ECR-R),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한국판(AEQ-K)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애착회피는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과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삶의 만족도와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정서표현 양가성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는 정적인 관계, 삶의 만족도와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또한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각 변수 간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보다 삶의 만족도와 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담 장면에서 성인애착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들을 만날 때 중심 개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ttachment avoidance,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e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avoidance,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80 college student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ECR-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korea(AEQ-K)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ttachment avoid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life satisfaction were negative related. Second, mediating effec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for each variable, the level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had more influence than the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it can be utilized to help focusing on client involvement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ounselor meets client appeal to attachment avoid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