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21.67
3.15.221.67
close menu
한국 스포츠외교정책에 관한 고찰 -2002 월드컵과 2010 동계올림픽 유치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orts Diplomacy in Korea -Comparative Case Studies of Successful Hosting of 2002 World Cup Games and Attempted Deeds to Host 2010 Winter Olympic Games-
이욱열 ( Wouk You Lee )
UCI I410-ECN-0102-2015-600-00196376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한국 스포츠외교 정책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성공한 예로서 2002 한일 공동월드컵과 실패한 예로서 2010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스포츠외교정책의 현실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점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올 두고 있다. 급변하는 국제외교환경 속에서 각 국은 비교적 부담이 적은 스포츠교류를 통하여 국가간의 신뢰를 다져간다면 여기서 구축된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각 나라들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국제외교환경과 스포츠 외교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에 비추어 스포츠 외교 정책분야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정책적 대안은 다음과 같다. 1. 스포츠의 영향력이 시간이 흐를수록 커지고 있는 현실속에 경제 · 문화적 측면에서의 파급효과도 상행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해 그 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스포츠 외교력을 담당해 나갈 인재를 우선적으로 양성하고 국가 마스터플랜과 연계된 장기적인 안목의 스포츠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한 현안과제일 것이다. 2 한국 스포츠계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이 하루빨리 국제스포츠기구에 실무책임자로 자리잡아 국익 반영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한국 정부에 있어 스포츠 외교를 담당하는 정책부서의 확대가 필요하다. 4. 스포츠 외교는 국가만이 홀로 나서는 것이 아니라 민간외교력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민관이 합심하여 나아가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민간 스포츠외교활동에 대한 지원과 자율성을 보장해 주어 민간차원의 외교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 5.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서 50여년의 분단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한국은 남 · 북한간의 반목과 갈등이 심화되었기에 이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스포츠교류와 협력을 통해 서로간의 신뢰를 회복하여 이를 정치 · 경제적인 협력체제로 발전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This essay aims to diagnos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sports diplomacy in Korea and suggest amendment and directions to take. To examine Korea`s sports diplomacy closely, I have mad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 successful case of hasting 2002 World Cup Korea-Japan and Pyeongchang`s attempted (and failed) deed to hast 2010 Winter Olympic Games. In this time of rapid, unpredictable changes in diplomatic environment, international sports exchange is one alternative with relatively low risk of political conflicts. When nations secure trusting relationship by means of pure sports interchange, each of the nations will be able to attain synergy effect on the basis of trust and understanding accumulated through such interchange. With hopes that the study of sports diplomacy will grow active in the light of this austere diplomatic environment where the importance of sports diplomacy increasingly gains attention, the political alternatives I have drawn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nfluence of sports grows with time, its impact on economy and culture also grows. The imminent problem to embark upon will be then to bring up competent persons to undertake the long-standing problem of sports diplomacy, and to establish long-term sports policy also related to the national master plan. Second, A person capable of identifying and speaking for the ground where sports in Korea stand should climb up to the position of administrative representative at an international sports foundation, representing Korea`s national interest. Third, as for the Korean government, the expansion of department that undertakes sports diplomacy is extremely necessary. Fourth, one should remember that in sports diplomacy, nongovernmental, people-to-people diplomacy means as much as governmental diplomacy. Hence, keeping pace with the global tendency of government-people collaboration, the government should guarantee support to and autonomy of sports diplomacy at individual level and increase its capabilities. Fifth and the last, during the last fifty years of ongoing state of partition of Korea, which now remains the last divided country on earth, antagonism and conflicts have deepened, yielding no direct and straightforward approach to the problem. At this point we need to show continuous support and concern to recover reciprocal trust through sports interchange and collaboration, which will then evolve into politico-economic cooperative constitu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