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74.95
3.138.174.95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 시기 기독교 출판과 책의 유통 -조선예수교서회를 중심으로-
Christian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n the Colonial Period -A Focus on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김성연 ( Sung Yeun Kim )
사이間SAI 18권 9-45(3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940684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지성사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기독교’라는 변수의 역할에 주목한다. 기독교가 학교, 병원, 출판 등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근대 지식 과 학문의 정착에 기여한 바는 기왕에 논의된 바 있으나, 이들이 한국 근대 지성 사에 실제적으로 개입한 바는 보다 세밀하게 고찰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기독교 출판’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식민지 시기 대표적인 기독교 출판사이자 선교사들이 중심이 된 문서 활동 기관인 조선예수교서회의 활약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식민지 시기 출판과 독서 문화사를 조밀하게 채울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 근대화의 주요 촉매제인 서구와 기독교가 식민지적 조건 속에서 지식의 생산과 유 통에 개입한 바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성사의 물적/문자적 토대인 출판물과 내적/제도적 토대인 종교성을 아울러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기 독교 출판’은 식민지의 지성과 감성을 조망하는 유용한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 조선예수교서회는 종교적 사명 하에 출발한 출판사였지만, 서양(미국과 영국) 자본을 기반으로 미국인 선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근대화된 자본주의적 영업 방식 을 도입한 사업체였다. 서회는 성경과 찬송가, 기독교 관련 문헌뿐 아니라 소설, 전기 등의 문학, 그리고 사회과학서, 계몽서, 근대 학문 교과서 등의 일반 서적과 정기간행물을 발간함으로써 비기독교인까지 포괄적으로 상대했고 특히 여성과 아 동, 청년 계층을 주요한 독자로 배려했다. 그리고 기독교 서점, 일반 서점 등의 상권과 권서인, 전도부인, 목회자, 교회, 선교센터 등 기독교가 확보한 인적, 제도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전국적 망에서 서적의 홍보와 판매를 적극적으로 시도했다. 또한 출판과 판매에 머물지 않고 서적의 보급과 독서까지 관여하며 식민지 조선의 독서장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러한 사실은 식민지 조선 문화에서 기독 교의 기여가 ‘한글 보급’이라는 문자적 차원에서 주로 언급되던 기존의 논의에서 나아가 ‘지성사’의 장 속에서 세밀히 살펴질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 무엇보다도 서회는 조선 내부의 경계에 머물지 않고 중국과 일본, 미국의 출판 시장을 넘나들며 상호 참조, 번역, 저술, 수입함으로써 서적의 국제적 이동, 즉 지 식의 월경을 시도했다. 이는 지식의 생산과 이동이 정치적으로 통제되던 식민지 조선에서 종교적, 서구적 주체와 이들과 접촉했던 조선인들을 통해 지식의 유통이 모색된 사례이다. 따라서 식민지 시기 조선예수교서회라는 문화생산 주체는 식민 통치의 법조망이 규정하고 감독하고자 했던 주체, 문자, 영토의 경계를 교란시키던 존재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Christianity as a variable in the history of mentality during the colonial Chosun period. Previous papers have discussed the roles and contributions of Christianity to modern knowledge and academic research, which took root through the building of schools and hospitals and the publication of various publications in colonial Chosun.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for a deeper and more meticulous examination of Christianity`s role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mentality. To this end,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shing house in colonial Chosun, in which the key functions were performed by Western missionaries. A closer look at this institution will shed light on the publishing and cultural history of reading in the colonized period; moreover, it will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roles of the West and of Christianity - two significant catalysts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 - in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under the colonial influence. In addition, the focus on “Christian publishing” will spark a useful discussion about the sense and sensibility of the colonized world, as it allows an examination of “publishing,” the material and literal foundation of the history of mentality, and of “religion,” the intern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history of mentality. Although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was established with a religious mission, it evolved into a business that adopted modern capitalist business methods and was led by American missionaries bringing capital from the West (America and Great Britain). It also embraced non-Christians by publishing not only Christian-related literature, such as the Bible and hymnbooks, but also periodicals and other books, including literature (e.g., novels and biographies), social science books, Enlightenment books, and modern academic textbooks. The publications targeted mostly women, children, and young adult readers. Furthermore, the Society aggressively exploited its human and institutional network (includi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bookstores, evangelists, Bible women, ministers, churches, and mission centers), marketing and selling its publications in every corner of the country. In addition,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did not confine itself to the publishing and selling of books; i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ir distribution and reading, wielding a great influence on the reading culture of colonial Chosun. The acknowledgement of this influential role of Christianity calls for a new strand of discussion about the ways Christianity contributed to shaping the culture of colonial Chosun. That is, Christianity`s role went far beyond that of just “distributing Hangul”:the “history of mentality” is another important dimension to consider when charting the contributions of Christianity. Most of al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expanded its boundaries beyond Chosun and reached out to the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publishing markets. By crossreferencing, translating, and importing publications from overseas markets, it promoted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publications and ultimately attempted to facilitate the migration of knowledge. Thus, the Chosun people that came into contact with religious and Western subjects sought to distribute knowledge in the colonial Chosun society, where any form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unapproved knowledge was politically controlled.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can therefore be viewed as a producer of culture that blurred the boundaries of the subjects, texts, and territory which the colonial rulers strived to regulate and oversee.

Ⅰ. 서론
Ⅱ. 식민지 조선에서의 선교사의 출판 활동
Ⅲ. 조선예수교서회와 지식의 유통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