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43.239
3.145.143.239
close menu
KCI 등재
『개척자((開拓者))』 다시 읽기
『開拓者』を讀み直す
김영민
사이間SAI 18권 83-115(33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940700

본 논문은 그동안 문학사에서 언급은 자주 되고 있지만, 실제 연구는 별반 이루 어지지 않았던 이광수의 작품 「개척자」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연구한 것이다. 이 광수가 「개척자」에서 국한문체를 선택한 것에 대해, 단순히 문체의 퇴보라는 말로 비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광수가 「개척자」를 국한문혼용체로 발표한 이유 는 _매일신보_라는 매체의 지면 구도에 맞게 자신의 소설 내용을 구상하고 거기에 어울리는 문체를 선택한 결과였다. 근대 초기 한국문학사의 전개 과정에서 작가의 작품 활동은 문화적 제도(制度) 안에서 그리 자유롭지 않았다. 「개척자」의 국한문 체 선택은 근대문학 작품이 매체라는 제도와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보 여 주는 명확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해석들과는 달리, 이광수의 창작의도에 따르면 「개척자」의 주인공 은 성재도 성순도 아닌 민이었다. 성재의 존재는 민의 등장을 위한 수단에 불과했 고, 성순은 민의 이상 실현을 위해 싸우다 희생되는 인물의 역할을 맡았다. 그렇게 보면, 성재의 성격 변화가 서사 전개상 필연적이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성재의 보수 편향이 곧 기성세대의 윤리관에 대한 성순의 저항의 동력으로 작용하기 때문 이다. 이광수는 도구적 인물 성재를 적재적소에서 활용하며, 그의 능력을 적절히 소비했다. 이광수가 이렇게 민을 작품의 주인공으로 설정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 면, 이 작품에서 ‘개척자’라는 용어가 지니는 의미는 과학의 영역보다는 윤리와 관 습의 영역에 속하는 것임이 명확해진다. 「개척자」의 서사 구조의 핵심은 성재를 중심으로 한 과학소설이 아니라 민을 중심으로 한 연애소설이라는 점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제대로 정리된 바 없는, 당시대의 독자 투고 및 비평문등을 모두 발굴해 새롭게 분석 연구했다. 당시대의 독자들은 대부분 「개척자」가 조선 사회를 향해 울려 퍼지는 복음(福音)으로 이해했다. 이들은 작품 속 인물들을 숭배하며, 작품을 읽는 순간 자신이 이미 개척자의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는 환상 또한 공유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당시대 독자들의 기대 및 염원과는 달 리 「개척자」가 조선의 현실에 대해 “혁명의 기”를 들었거나 성순이 잡은 “모반(謀 叛)의 기(旗)”를 함께 든 작품은 아니라고 보았다. 묵해(默海)라는 투고자의 공개 질의와 이광수의 답변을 통한 논전 과정은 한국 근대비평사에서 의미 있는 과정으 로 이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척자」는 새로운 시대를 향한 신세대의 도전이 구시대와 구세대 의 권력에 패하는 모습을 보이는 작품이다. 최근에 발굴된 자료 중 하나인 「노라 야」에서 이광수가 노라의 행동을 제지하는 것과, 「개척자」에서 민이 성순의 행동 을 제지하는 것은 맥락이 서로 통한다. 인물들의 자각을 강조하면서, 그의 실제 행 동은 제지하는 이광수의 계몽주의는 철저히 관념적이다. 「개척자」의 근본적 한계 는 이러한 관념성에서 유래한다. 「개척자」는 식민지시기 총독부의 기관지 _매일신 보_의 기획을 통해 탄생한 작품이다. 총독부 기관지가 민족교화의 계몽소설을 기 획했을 때, 그 계몽소설의 한계는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本稿は、李光洙の長編小說「開拓者」の意味と限界について硏究したものである。從來の硏 究においては、「開拓者」の國漢文體の使用については、批判的見解が主流であった。だ が、本稿では、作者李光洙が「開拓者」において國漢文體を使用した理由を究明し、その時期 「每日新報』における國漢文體の持つ獨自の四値を確かめることができた。「開拓者」は、當 時の知識人たちを對象として「每日新報』により企畵された作品である。その点を考えるなら ば、國漢文體の使用を單に個人的文體の退步というふうに非難するのは適切ではない。「開拓 者」における國漢文體の使用は、韓國の近代文學作品が當時の媒體と極めて密接な關わりを 持っていることを明白に示す例といえよう。また、本稿では「開拓者」の主人公についても從來の 見解とは異る解釋を試みた。この作品は科學小說ではなく、戀愛小說なのである。 さらに、本稿では、今まで硏究對象として取り上げられなかった當時の讀者投稿及び批評文 を發掘し改めて考察を行った。このような考察を通して、崔曙海と李光洙の關係の出發点につい て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當時の讀者の多くは、「開拓者」を朝鮮社會に向かって響きわたる福 音として受け止めていた。彼らは、作中人物を崇拜し、作品を讀み始めた瞬間、自分がすで に開拓者の隊列に合流し始めたという幻想を共有したのである。しかし、「開拓者」が朝鮮の現 實に對し、'革命の旗'と'謀叛の旗'を揭げる作品ではないと考えられる。つまり、「開拓 者」は、新世代の新しい時代への挑戰が舊時代と舊世代の權力によって敗北する樣子を描いた 作品である。

Ⅰ. 머리말
Ⅱ. 국한문혼용체 선택의 의미
Ⅲ. 독자의 반응과 「개척자」 집필의 의도
Ⅳ. 「개척자」의 위상과 한계
Ⅴ.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