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21.163
3.137.221.163
close menu
KCI 등재
트랜스내셔널한 역사에 응답하는 한국의 문학과 정치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 비판에 대한 비판-
Korean Literature and Politics Responding to Transnational History -Criticism of the Criticism of Literature and Film in Cold War South Korea-
나병철 ( Byung Chul Na )
사이間SAI 18권 189-220(32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940735

이 글은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미국학자들의 한국문학 연구의 의미를 올바르게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그런 맥락에서 최현희의 테드 휴즈의 _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역사_에 대한 비판을 재비판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최현희의 비판의 문제점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우리는 테드 휴즈와 이진경 등의 미 국학자들의 연구가 기존의 한국문학 연구에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최현희의 비판의 핵심은 휴즈의 책이 문학 작품을 텍스트성의 구현으로 보는 대신 역사적 맥락을 구성하는 이데올로기들의 경합 장소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이 는 문학 작품을 역사적 다층성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장으로 다룬다는 점 에서 이론적인 객관주의이다. 또한 문학 텍스트가 역사 속에서 현실 정치의 과정 으로 참여하는 길을 배제하는 점에서 정치적 허무주의이다. 이 글은 최현희가 비판한 두 측면이 오히려 이제까지 우리가 보지 못했던 문학 의 역할을 보게 만드는 것임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문학 작품을 이데올 로기들의 경합 장소로 환원한다는 비판은 주로 문학적 한계를 다루는 연구에 한 정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휴즈는 결코 문학 텍스트를 역사적 이데올로기로 환 원하고 있지 않다. 휴즈의 민족주의 비판은 문학 텍스트의 한계에 상응하는 이데 올로기적 등가물을 밝히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예컨대 남정현 소설의 텍스트적 한계는 우리가 유심히 보지 못했던 남성적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작동에 의한 것이다. 정치적 허무주의라는 두 번째 비판은 최현희가 잘 보지 못한 다른 작가들의 작 품에 의해 반박된다. 예컨대 손창섭과 최인훈의 작품들은 최현희가 말한 텍스트성 을 통해 현실에 정치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소설들이다. 두 사람의 작품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대응은 은밀한 미시 정치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그들은 민족이나 국가를 다중적 틈새의 위치에 놓음으로써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서 역사적 현실에 미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들이 사용하는 문학적 방법은 되돌아보기와 양가성, ‘틈새에 놓기’ 등이다. 두 사람의 작품은 그런 은밀한 대응을 통해 이제까지의 연 구가 잘 보지 못했던 미시 정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들의 작품은 그 같은 미시정치만이 거시적 차원의 역사에 대한 응답을 들려 줄 수 있음을 텍스트를 통 해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correctly the meaning of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by American scholars as recently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context, this thesis contains the intent of re-criticizing the criticism by Choe Hyon-Hui on Literature and Film in Cold War South Korea by Theodore Hughe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problems with the criticism by Choe Hyon-Hui, we can observe that studies by American scholars such as Theodore Hughes, Lee Jin-Kyung, and others provide fresh impetus with regard to existing study of Korean literature. The key criticism by Choe Hyon-Hui is that the book by Hughes defined literary works as where ideologies, which compose the historical contexts, are competing instead of viewing them as the realization of textuality. This is the theoretical objectivism related to how the literature works are treated, i.e., where the historical multi-layer can be observed objectively. In addition, it is political nihilism with regard to the aspect how the literary texts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real politics in history is excluded. This thesis seeks to explain that the two aspects criticized by Choe Hyon-Hui rather make us understand the role of literature as yet unseen. First, the criticism that the literary works revert to where the ideologies are competing is limited mainly to the study assessing literary limits. Hughes never viewed the literary texts as historical ideology. The criticism of ethnonationalism by Hughes has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deological equivalents corresponding to the limit of the literary texts. For example, the textual limit in the novel by Nam Jung-Hyun refers to works pertaining to the ideology of muscular ethno-nationalism, which we have not viewed carefully. Political nihilism is refuted by the works of other authors, whose works Choe Hyon-Hui had not viewed sufficiently. For example, the works by Son Chang-Sup and Choe In-Hun are novels which responded to reality politically through textuality. The response of the works by the two authors to the historical reality used a secret micro-political method. That is, they responded to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times microscopically, moving away from ideology by placing the ethnic group or nation in multi-layer interstices. The literary methods used by them were ‘look back’, ambivalence, and ‘placing in the interstice’, among others. The works by the two authors perform the role of micro-politics through a secret response which has not been examined thus far. These works reveal to us that only micro-politics can respond to a macroscopic level of history through the texts.

Ⅰ. 한국문학 연구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Ⅱ. 식민지 근대의 반복과 변주:민족은 어디에 있는가
Ⅲ. 삭제된 것의 귀환과 트라우마의 기억
Ⅳ. 미시정치로서의 문학:되돌아보기와 양가성, 틈새의 위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