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6.75
3.17.6.75
close menu
KCI 등재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구학(求學)의 여정과 강학(講學)의 관점
Sunam An Jeong-bok`s Journey of Guhak(求學) and Viewpoint of Ganghak(講學)
함영대 ( Young Dae Ham )
한국한문학연구 58권 31-67(3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914259

이 논문은 순암 안정복의 학문세계를 求學의 여정과 講學의 관점이라는 시야로 살핀 것이다. 완성된 저작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저작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주목한 것이다. 순암은 수많은 책을 직접 抄書하여 藏書를 구축했고, 그에 대한 독서와 성찰을 바탕으로 저작을 남겼다. 특히 성호 이익을 스승으로 섬기며, 성호학파 학자들과 교유한 여정은 순암의 학문적 업적에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순암의 방대한 저작에 대한 관심과 평가가 우세하였던 까닭에 그 저작과정에 대한 세심한 성찰에까지 시선이가지 못했다. 논의를 통해 우리는 순암의 학문이 師友들과의 부단한 절차탁마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순암은 자신이 저술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하여 성호 이익은 물론 소남 윤동규 등 성호학파의 구성원들과 소통하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그 과정은 항상 열린 자세로서의 소통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었고, 격렬한 토론과 어쩔 수 없는 수긍도 동시에 존재했다. 그러나 그 전반을 관통하는 순암의 학문하는 태도는 평정하고 합리적인 것이었으며, 인간의 현실적 삶과 본원적 도덕을 옹호하는 철저히 유학자적인 것이었다. 스승의 저작을 정리하면서 또 자신의 역작들을 완성하면서 순암 안정복은 자신이 처한 가난과 넉넉지 못한 가세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확고히 정했고, 그러한 자신의 성찰을 후학에게 전했는데 그것은 下學에 기초한 실천위주의 주자학이었다. 이론적 성리학에 경사된 당대 학문 풍토를 일신하고 주자학 내부에서의 온건한 개혁을 주장한 순암의 이러한 학문정신은 이후 下廬 黃德吉, 性齋 許傳으로 이어졌고, 그 여맥은 20세기 한국 실학연구의 한 본류를 형성케 했다. 순암의 求學의 여정과 講學의 정신은 여전히 한국의 유학연구에 큰 빛을 드리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nam An Jeong-bok’s academic world with his journey of Guhak(求學) and Viewpoint of Ganghak(講學). It focuses on analyzing not the completed writing but the process of completing it. Sunam did Choseo(抄書) himself with a number of books to build his library, and by reading and meditating on it, he wrote works. Especially looking up to Seongho(星湖) Lee Ik(李瀷) as his mentor and exchanging with the scholars of Seongho School did form crucial assets to Sunam’s academic achievem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Sunam’s studying by tracing Sunam’s journey of establishing his academic status and also the aspects of lecturing to his disciples.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Sunam’s studying was grounded on his restless jeolchatakma with his mentors and friends. Regarding the topics he intended to write about, Sunam communicated with Seongho Lee Ik as well as Sonam Yun Dong-gyu and Seongho School’s members in order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parts of his writ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did not always involve open attitudes but required unavoidable acceptances and fierce disputes as well. But Sunam’s attitude of studying that penetrated the entire process was something calm and reasonable and also thoroughly Confucian embracing human life in reality and principal morals. Arranging his mentor’s writing and also completing his own works, Sunam An Jeong-bok came to establish his own academic position firmly in consideration of his poverty and unfavorable situations in his family. He did transmit what he had meditated on to his students, and it was practice-oriented neo-Confucianism grounded on Hahak(下學). He renewed the academic climate of the time emphasizing the establishment of theory on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s well as morals and insisted sound renovation inside neo-Confucianism. This academic spirit of Sunam’s was transmitted to Ha Ryeo Hwang Deok-gil, Seong Jae Heo Jeon, and what is still remaining in it did form a mainstream of 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Korea. Sunam’s serious journey of Guhak and sincere viewpoint of Ganghak still shed their great light on research on Confucianism in present Korea.

1. 문제제기
2. 求學의 여정
3. 講學의 관점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