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169
18.219.22.169
close menu
KCI 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between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장익준 ( Ik Jun Jang ) , 이기용 ( Ki Yong Lee )
UCI I410-ECN-0102-2015-300-001891450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일반적 태도,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태도, 교사교육 태도)의 매개효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대구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18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양적연구인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지각하는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과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 및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하위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태도, 교사교육 태도, 교육과정 태도의 부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인식 단독으로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이 함께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학교현장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직, 접적 경험과 다양한 교육기회를 부여하여 교 사들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s (general attitude, attitude to teacher roles, attitudes to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 adopted surveying, on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as its study method and selected 2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its study subjects. Based on this method, the study has drawn conclusions as below: First, regarding correlation among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l the subarea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perception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attitudes, attitudes to teacher roles, attitudes to teacher training, and attitudes to the curriculum were found to be statistical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1. Multicultural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multicultural efficacy independently, and along with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s, it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multicultural efficacy. Therefore, it is needed to focus on chang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positively by providing them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training so that they can be equipped with more enhanced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actual field of school education afterwards.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