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38.170
18.218.138.170
close menu
KCI 등재
더블텐스형식의 관점에서 본 「はずだ」의 연구
A Study of hazuda from the double tense form
김혜연 ( Hye Youn Kim )
UCI I410-ECN-0102-2015-800-001885637

본 연구는 「はずだ」를 더블텐스형식이라는 관점에서 4개의 패턴으로 분류 하여 각각 패턴의 「はずだ」의 구문적, 의미적 특징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1텐스의 존재시, 실현유무, 화자의 확인유무 및 확인시점, 그리고 제 2텐스의 화자의 판단시점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했다. 용례는 소설 회화문에서 <추측>을 나타내는 「はずだ」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명제의 술어는 동사술어로 제한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패턴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과거형+비과거형」에서는 제 1텐스와 제 2텐스의 형태와 의미가 일치하며, 이 패턴의 「はずだ」는 화자가 발화시에 있어서 미래의 사태를 당연히 일어날 사태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과거형+비과거형」은 발화시에 있어서의 과거의 사태를 나타낸다고 했다. 하지만, 문의 공기 요소 등에 따라 텐스적인 측면이 뒤로 물러나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세 번째로, 「비과거형+과거형」은 과거에 있어서 미래의 사태를 추측했다라는 것을 발화시에 재확인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했다. 그리고, 이 패턴의(비)과거형은 텐스적인 대립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텐스적인 측면이 약해져 텐스의 대립이 무너지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면 비과거형과 과거형의 교체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는 것도 밝혔다. 또한 이 경우의 「はずだ」는 대부분 <반사 실>을 나타내며,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발화시의 명제 성립에 대한 <재확인>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과거형+과거형」은 본 연구에서 찾아낸 용례가 1개밖에 없었고, 다른 선행연구에서도 없는 것으로 보아, 이 패턴이 회화에서 사용되는지 어떨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This study is distributed by 4 patterns from the point of view called by the double tense form and analyzes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hazuda. Concretely, It considerates when the first tense is existed, whether or not realization and confirmation are existed, the time of the confirmation, and the second tense of speaker`s view point of Judgement. The analyzed Objects of this examples are hazuda expressing “guess” from the dialogues of novels and predicate of proposition is only limited with verb. Results of analysis arranged by patten is the next. First, 「non-past form+non-past form」 is equal between the first tense and the second tense in the form and meaning, and hazuda expresses that the future situation occurs naturally from the this patten when speaker`s speaking. Second, the first tense of 「past form+non-past form」 expresses situation of the past when speaking. But, the side of tense could go backward and the side of mood could go forward by such co-occurrence elements of the sentense. Third, 「non-past form+past form」expresses re-confirmed of guess about the future situation when speaker`s speaking, so it can have in some case tense confrontation, but it makes the side of tense weaken, tense confrontation broken, the side of mood go forward. And, it could made non-past form and past form change when the side of mood go forward. And, in this case most, hazuda expresses “unreal”,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related re-confirmed about established proposition when speaking. Finally, this study finds only 1 example of 「past form+past form」and it is not in other previous studies, so I need to think whether this patten is used with conversation.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及び本稿との關連性
3. ダブルテンス形式の觀点からみた「はずだ」の分析
4.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