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32.230
18.223.32.230
close menu
KCI 등재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본 브랜드시그니춰의 해석의 틈에 대한 유형분석 -포춘 500기업 로고를 중심으로-
The typology of brand signature with a semantic analysis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 -Focused on Fortune 500 companies` logos-
이현미(주저자) ( Hyun Mi Lee ) , 천은혜(공동저자) ( Eun Hye Chun ) , 박진숙(교신저자) ( Jin Sook Park )
UCI I410-ECN-0102-2015-600-001828205

본 연구는 브랜드시그니춰 요소간의 해석의 틈과 특성을 수용미학적 접근법을 통해 분류한 논문이다. 수용미학적 접근법이란 작가(A)-작품(B)-수용자(C)의 관계에서 수용자가 작품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작가(A)≠수용자(C)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작품에 대한 해석의 틈이 생겼다고 가정하고 이 틈에 대해서 생소화법칙, 미정성구조, 구체화개념 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포춘 500개의 기업 중 심볼마크를 가지고 있는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심볼과 로고타입, 업(業)의 관계를 위의 세 가지 분류에 대입하여 등식을 성립하였다. 1차로 3명의 전문가집단이 서술형구조와 해석의 틈이 있는 생소화법칙, 미정성구조, 구체화개념 등의 사례를 분류하고, 이 분류에 따른 등식을 디자인전공자와 비전공자 각각 50명씩으로 구성된 일반인 100명에게 설문을 통해 검증했다. 그 결과 전문가집단이 분석한 틈의 유형과 등식이 디자인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다 성립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2차로 각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시각적정체성의 10가지유형과 AIDMA법칙에 바탕을 둔 주목성, 독창성, 호소력, 기억성 등4가지 항목을 SD기법을 사용하여 T-test를 하였다. 결론으로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할 시 심볼과 명칭, 업의 개념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이며, 무엇을 소재로 하여 시각적으로 브랜드의 추구하는 이념을 표현할 것인가에 참고할만한 유용한 자료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ypology of the interpretation gap between the elements of brand signat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ology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 The reception theory is the viewpoint that sets the emphasis on how the consumer interprets work in the relation of Author(A)-Work(B)- Consumer(C). Assuming that there is the gap of interpretation for work when Author(A)≠Consumer(C), the classification for this gap is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 defamiliarization, interminancy, and concretization. Among Fortune 500 companies, the companies that have the symbol mark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symbol, logo type and business and established the formula by classifying the gap. For the first evaluation, 3 specialists selected the cases of descriptive mark, estrangement rule, uncertainty structure, and concretization concept. For the second evaluation, the gener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otal 100 ordinary people including 50 specialists and 50 non-specialists and an T-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D technique for 4 items such as attractiveness, originality, appeal and memory through 10 types of visual identities and AIDMA theory for the feature of each type. As a result, a helpful reference was drawn for someone who considers how to set the relation of symbol, name and business concept to create brand image, and which materials are used to express the concept that the brand pursues visual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