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41.202
3.138.141.202
close menu
KCI 등재
현대문학 : 이용악의 「오랑캐꽃」에 대한 해석의 일 방향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Lee Yong-ak`s "Orangkaeggot"
김권동 ( Kwon Dong Kim )
배달말 56권 231-259(29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1792374

이용악의 「오랑캐꽃」은 북방 오랑캐의 혈통이나 관습과는 전혀 관계없는 야생의 꽃인 ‘오랑캐꽃’을 상으로 시적 형상화를 한 작품이다. 시적화자는 오랑캐와 오랑캐꽃을 동일 선상에 놓고 그 의미를 역사적으로 조명한다. 역 사적으로는 전혀 관계없는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시적화자는 오랑캐의 변발 과 오랑캐꽃의 형태의 유사성으로 말미암아 우리 민족의 모습과 비됨을 보여준다. 1연과 3연의 오랑캐에 한 인식은 서로 다른데, 1연에서 오랑캐 는 다소나마 연민의 정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3연에서는 오랑캐에 한 인식은 부정적이다. 아울러 1연에서는 집단의 이야기를 전하는 방식으로 서 술자의 소망하는 반하고자 했다면, 3연에서는 독백체를 취하며 시적화자의 감정을 그로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경계에 2연이 있는데, 회상 이나 추정을 하는 방식으로 세월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잘 드러낸다. 오랑캐 라는 이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의미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Lee Yong-ak``s poem "Orangkaeggot" regarding the ecology of the violet and the poetic words used in the poem. In this poem, he achieves the poetic imagery, which takes the deep likeness to the ecology of the flower, especially after its seedpods burst. The violet is self-pollinating in its buds by becoming cleistrogamous under the clement condition, though it usually gets pollen from other violets and succeeds in pollinating. Like this, on the base of the similarity that the flower looks like a barbarian``s pigtailed style in its shape as well as the fact that it bursts its seedpods in autumn, he acquires rich expression of its narrativity and lyricism with the ecology of the flower and its narratives overlapped in the poem. In "Orangkaeggot," he uses not only the resemblance between a barbarian``s pigtail and the flower``s appearance - which is irrelevant to any historical background - but he presents also the contrast between the flower and the Korean nation. In the first and third stanzas of the poem, he shows his different senses about barbarians; in the first stanza it seems that he bears some slight sentiments of pity toward them, whereas in the third stanza he alludes his negative view about them. For a borderline of these two different attitudes there is the second stanza placed, in which he succeeds in expressing the passing of time by the poetic method of reminiscence or presumption and spatially. Thus, in "Orangkaeggot" he deals with the wild flower named ``orangkaeggot`` but irrelevant to any northern barbarians by blood or in customs, and he reaches its own poetic figuration.

1. 들머리
2. 「오랑캐꽃」 원전 비평
3. 구전 효과를 통한 문학적 상상혁
4. 「오랑캐꽃」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모색
5.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