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어 담화 지시체의 인지범주와 형식적 구현
백은희
중국언어연구 58권 27-48(22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1792849

本稿通過Gundel等(1993)的已知性等級(Givenness Hierarchy)來分析漢語中言談指示對象的認知狀態和名詞短語的相關性。分析結果表明零代詞表示注意中心的認知狀態,人稱代詞表示注意中心或激活的認知狀態,“這”表示激活的認知狀態,“那”表示激活的或熟悉的認知狀態,“這N”表示激活的認知狀態,“那N”表示激活的、熟悉的或唯一可識別的認知狀態,“數量N”可表示激活的、熟悉的、唯一可識別的、指示的或類型可識別的認知狀態,一N”表示指示的或類型可識別的認知狀態,“N”可以表示所有認知狀態。上列九種名詞短語中只有本身包含名詞的“這N”、“那N”、“數量N”、“一N”、“N”,可以加定語來添加詞彙性信息。本稿通過名詞短語和其先行詞距離的分析,發現名詞短語已知性等級越低,先行詞的距離越遠。其次,本稿分析每個段落始發句里包含的主詞名詞短語,發現名詞短語的已知性等級越低,越容易出現在段落的始發句。上面幾種現象表明名詞短語所指涉的言談指示對象的認知狀態和名詞短語的形式之間具有明顯的相關性。

1.들어가는말
2.Gundel 외(1993)의 주어짐성 위계(Givenness Hierarchy)
3.주어짐성 위계로 본 담화 지시체의 인지상태와 명사구 형식의 상관성
4.어휘 정보량으로 본 담화 지시체의 인지상태와 명사구 형식의 상관성
5.선행사와 명사구의 거리로 본 담화 지시체의 인지상태와 명사구 형식의 상관성
6.단락 시발문(始發文)에 포함된 담화 지시체의 인지상태와 명사구 형식의 상관성
7.맺는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