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0.240
18.118.0.240
close menu
KCI 등재
<타임 패러독스>, 또는 좀비가 말하지 못한 것
Predestination, or What Zombie Failed to Say
김석 ( Suk Kim )
비교문학 66권 65-89(2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93809

<인터스텔라>(Interstellar, 2014)의 기록적인 흥행에 가려, 소수 SF 팬 층 이외의 주목을 끌기 힘들었던 동년도 개봉작 <타임 패러독스>(Predestination, 2014)는 많은 면에서 로버트 하인라인(Robert A. Heinlein)의 1958년 단편소설 「너희 모든 좀비들」(“All You Zombies”)을 충실히 재현한 영화이고, 또 그러한 까닭에 문학작품 원작의 영상화가 수반하는 일반적인 한계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원작 「너희 모든 좀비들」 역시 1941년에 출간된 동일저자의 전작 「자기 힘으로」(“By His Bootstraps”)에서 전경화된 시간여행과 자기-창조 같은 주제들을 수용해 재해석한다는 점에서, 나아가 오늘날 영상매체 및 시각중심 문화가 향유하는 지배적 영향력으로부터 문학이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그와 같은 일반론적 접근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영화 <타임 패러독스>의 문제는, 오히려 ‘원작’의 핵심적 주제라고 전제되어 스크린 위에 단순화된 공식으로 환원된 ‘예정 역설’로 인해 텍스트가 지닌 울림의 힘을 간과했다는 점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비록 서사 내에서는 파편적 이미지로 스칠 뿐이지만 제목에 의미심장하게 그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작품 전체에 긴 잔영을 드리우는 좀비의 존재가 영화에서는 실질적으로 소거되고 만 것이다. 본 논문은, 좀비를 습관의 체현적 원형이자 떨쳐버릴 수 없는 유령적 존재로 상정한 지젝(Slavoj Zizek)의 관점과 다른 한편으로 좀비의 알레고리적 기능을 탈근대의 비물질적 노동과 연관시킨 라르센(Lars Bang Larsen)의 시각을 활용하여, 「너희 모든 좀비들」에서 <타임 패러독스>로 이어지는 서사의 변형 궤적을 조명함으로써 외부라는 타자적 공간은 물론 죽음이라는 절대적 사건의 무게마저 삼켜버린 21세기 ‘자기-식인화’ 문화현상으로부터의 탈주 가능성을 모색한다.

Spierig brother`s Sci-Fi film Predestination, when it arrived in Korean theaters under the new title Time Paradox in the early 2015, failed to make a buzz both at the box office and in critical circles. In many ways, the film signalled a faithful tribute to Robert A. Heinlein`s 1958 short story “All You Zombies,” which thematized the pardoxical logic of time travel and the mystery of self-creation, and in that respect suffered from some understandable drawbacks trailing any earnest attempt at transposing a work belonging to one art medium into another. Yet, the problem lies not so much in the essential dichotomy between copy and original (Heinlein`s tale itself constitutes a reworking on his previous work “By His Bootstraps” from 1941) nor in the irreducible singularity of art genres (surely, the status as much as the significatory role of literature could not have escaped the dominant influence of visual culture unscathed?), but rather in endeavoring to ingest and reproduce in formulaic manner what is perceived to be the thematic kernel of the original narrative (namely, the predestination paradox) and thereby failing to take into account the reverberative power of the text, which in this case revolves around the elusive figure of zombie foregrounded in the title of the story itself. By drawing on Slavoj Zizek`s recent analysis of zombie as the porototypical, albeit ghostly, embodiment of habit and Lars Bang Larsen`s socieconomic take on the zombie qua allegorical figure of post/modern immaterial labor, my inquiry traces the configuration of art re-production set off by “All You Zombies” (reconstitution of one textual form into another followed by its transcription into a filmic version, which then undergoes transliteration across regional borders) and examines whether the act of laying bare the logistics involved in the apperceptive experience of art work may open up the possibility of breaking out of the closed circuit of ‘self-cannibalization’ phenomenally manifested in the hegemonic order of the twenty-first century, wherein outside as the spatial imaginary of alterity, along with the idea of death as such, seems to have evaporated and the neoliberal ideology of self-development rules qua sole categorical imperative.

I.역설의 시간성
II.시간의 역설
III.좀비가 말하지 못한것
IV.폐회로와 자신의 꼬리를 먹는 뱀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