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66.206
3.16.66.206
close menu
KCI 등재
경계를 묻는 문학적 실천: 이시무레 미치코 『고해정토』로부터
Redrawing the Boundaries in Ishimure Michiko`s Kugai Jodo
심정명 ( Jeong Myoung Sim )
비교문학 66권 91-111(21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93814

이 연구는 미나마타병 환자를 다룬 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를 각종 경계들을 다시 그리는 것으로서 읽는다. 가와데쇼보신샤의 새로운 세계문학전집에 일본어 문학으로서는 유일하게 선정된 바 있는 이 작품은 주로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읽혀 왔지만, 그와 동시에 특정한 사건을 둘러싸고 산 자와 죽은 자, 피해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를 가르는 경계를 물으며 당사자의 문제를 직접 제기하고 있기도 하다. 이는 또한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의 일본과 관련하여 죽음의 경험들을 어떻게 영토화하지 않고 이해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도 이어진다. 『고해정토』에서 미나마타병 환자와의 만남은 화자를 비롯한 주위 사람들에게 분열을 가져오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 사이의 간극이 쉽게 극복되는 것은 아니다. 작품은 오히려 의사와 환자들 사이, 미나마타 시민과 환자들 사이에 뚜렷이 존재하는 경계를 부각시키는데, 이는 1959년에 미나마타 공장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를 둘러싼 갈등에서 특히 잘 드러난다. 이를 통해 『고해정토』는 미나마타병 환자들이 고도 경제 성장과 안보 투쟁으로 대표되는 당시 일본의 내셔널한 서사에 포섭될 수 없는 잔여이자 ‘터부’임을 보여준다. 작품은 또한 죽음 자체를 둘러싼 경계에 대해서도 질문하는데, 삶이 언제든 죽음으로 바뀔 수 있다는 잠재적인 가능성이야말로 문학에서 읽어낼 수 있는 보편성의 단서일 것이다. 작품에서 부각되는 미나마타라는 장소는 시간적, 공간적인 중첩 속에 존재한다. 이 장소는 식민지 조선의 역사와도 이어지며, 국경으로 나뉘지 않는 공동성을 배태하기도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Ishimure Michiko`s Kugai Jodo(Paradise in the Sea of Sorrow), which is dealing with Minamata victims, is about redrawing certain boundaries. While this novel has been read mainly as criticizing modernity or modernization, Kugai Jodo also asks who is/becomes the person concerned and where the line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or the victims and non-victims. And this can be related to the questions about how we, as outsiders, understand other people`s deaths, for example Tsunami victims during East Japan Earthquake disaster. In Kugai Jodo, although characters including the narrator experiences “philosophical split”, that does not mean that they can easily transcend the gaps between them and Minamata patients. Rather, this novel brings these gaps on surface, which is expressed well in the ‘violence’ occurred at Minamata factory in 1959. Through this event, Kugai Jodo shows Minamata patients are ‘taboo‘ and surplus who cannot be included in Japanese national narrative at the time represented by high economic growth or the Security Treaty Struggle. It also asks about the boundaries of death itself. In the novel, the dead and the living exist together and can replace each other. And this potential ‘dieablity’ might be a clue of the universality which one can find in reading the literature. Minamata as a place exists in the overlapping times and spaces. For example, this place is also related to the history of colonized Chosun. Minamata and Kugai Jodo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ommon experience which cannot be divided by national boundaries, or any kind of given boundaries for that matter.

I.들어가며
II.죽음의 경계 
III.경계의 재편성
IV.장소의 경계,혹은 장소로서의 경계
V.맺으며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